교섭단체를 구성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여야 3당이 ‘개헌 협상’에 착수키로 26일 합의했다. 협상은 27일부터 곧바로 시작하기로 했다. 각 교섭단체 대표 1명씩에다 각 당 헌정특위 간사들이 포함되는 ‘2+2+2’ 회담도 필요에 따라 열겠다고 밝혔다. 대통령 개헌안이 발의된 날, 마침내 국회에 개헌 작업에 뛰어들었다.
정세균 국회의장과 3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회동 직후 이 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세 교섭단체 대표들이 개헌 협상에 들어가기로 했다”고 밝혔고,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①권력구조 개편 ②선거구제 개편 ③권력기관 개혁 ④개헌 투표일 등 4가지를 의제로 했다”고 설명했다.
우 원내대표는 “나머지 두 정당(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은 교섭단체 구성되면 참여하게 될 것”이라며 “필요할 경우 각 당 헌정특위 간사들도 참여하게 해서 2+2+2 회담이 이뤄지게 하겠다. 논의를 풍성하게 하기 위한 조치”라고 덧붙였다.
비공개로 진행된 정 의장과 3당 원내대표 회동에선 한때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헌정특위 구성 이후 15개월을 끌어온 개헌 협상에 각 당이 참여하는 쪽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앞서 정세균 의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대통령 개헌안이 오늘 국회에 도착한다. 헌법 절차에 따라 5월 24일까지는 국회가 이에 대한 입장을 정해야 하는 책무가 생겼다”며 “개헌의 공이 오늘부로 완전히 국회에 넘어 왔다”고 강조했다.
정 의장은 “작년 1월에 개헌특위 만들고 지금까지 헌정사상 가장 길게 국회 특위를 운영했음에도 결단을 내리지 못했다. 국회의장으로서 국민에게 송구하다. 그러나 저는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정부안이 국회로 왔으니 정치권에서 그것을 용광로에 녹여 단일안을 만들어내면 될 일”이라고 말했다.
정 의장이 지적한 것은 ‘시기’였다. 그는 “아직도 각당이 개헌의 시기를 놓고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지금부터 한 달 안에 국회가 단일안을 만들어낸다는 조건이 충족되면 시기는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지금부터 정부안와 각 당의 안을 잘 절충해 합의안 만들어내면 국회의장으로서 대통령과 국민에게 시기 조정을 건의하겠다는 뜻이다.
☞
☞
☞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