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승강장에 인접한 매점과 자판기를 2020년까지 모두 대합실로 이전한다. 지하철 승객 동선과 비상 대피로 확보를 위해서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달 이같은 내용이 담긴 ‘승객공간과 동선 확보를 위한 승강장 비움과 통합’ 계획을 보고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는 올해 10월7일 이후 우선적으로 승강장에 설치된 통합판매대 중 비어 있는 25곳을 철거하는 등 조례시설물의 대합실 이전을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추진한다.
통합판매대는 지하철 승강장에 인접해 설치된 매점으로 신문이나 껌, 과자, 음료수 등을 판매한다. 현재 서울교통공사가 관할하는 지하철 1~8호선에는 150여개가 설치돼 있다. 해당 매점은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독립유공자 가족 등 소외계층에게 우선 임대토록 하는 ‘조례대상시설물’이다.
서울교통공사는 매점과 함께 역시 조례대상시설물인 지하철 음료수 자판기 400여대와 스낵 자판기 200여대도 철거해 대합실로 이전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측은 이같은 방침에 대해 승강장에 매점이나 자판기 등 시설물이 놓여 있을 경우, 승객들이 이동하는 데 불편을 끼치는데다 비상 상황시 대피하는데 방해가 된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운영자측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계약 만료에 맞춰 순차적으로 이전 철거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같은 계획이 순탄하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승강장 인근 매점이나 자판기는 대합실에 비해 승객들의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다. 예전과 달리 매출이 크게 줄었다고는 하지만 이미 상당기간 소외계층의 수입원으로 명맥을 이어왔기에 매점 운영자의 동의를 얻기는 쉽지 않으리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세원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