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은 진영을 가리지 않고 비판을 쏟아낸다. 같은 진보 진영이라도 문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거나 국정 운영에 방해가 된다고 판단하면 공격 대상이 된다. 기준은 오직 문 대통령뿐이다. 피아(彼我) 구분이 따로 없는 셈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도부도 이들의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지난해 국회 예산안 협상 과정에서 우원식 원내대표와 박홍근 원내수석부대표는 문 대통령 지지자들로부터 ‘야당 첩자’ ‘무능력자’라는 비난을 들어야 했다. 야당과의 협상 과정에서 문 대통령의 핵심 공약인 공무원 일자리 증원 규모 등이 일부 후퇴했기 때문이다.
과거 문 대통령과 각을 세웠던 여당 정치인들도 ‘경계 대상’이다.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한 박영선 의원이 대표적이다. 박 의원은 문 대통령의 당대표 시절 문 대통령을 날카롭게 비판하면서 ‘비문(비문재인)’으로 분류됐다. 지난해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도 박 의원은 안희정 전 충남지사 캠프에 합류했다. 지난해 3월에는 라디오에 출연해 “문빠들 문자는 십알단이나 국정원 댓글부대가 썼던 댓글과 거의 동일선상에 있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이 지난해 대선 경선 이후 ‘친문(친문재인) 마케팅’에 나서자, 일부 지지자는 삐딱한 시선을 보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특혜응원 논란이 일자 박 의원을 비판한 상당수 역시 문 대통령 지지층이었다.
범여권으로 분류되는 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지난해 12월 국회 본회의에서 법인세법 개정안에 반대표를 던졌다는 이유로 문 대통령 지지층으로부터 공격받았다. 이 대표는 당시 “협상 과정에서 정부 원안이 후퇴했기 때문에 반대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트위터를 중심으로 “왜 문 대통령 핵심공약을 반대하느냐”는 취지의 비판들이 쏟아졌다.
정부 정책 비판 기사에도 문 대통령 지지층의 댓글이 어김없이 달린다. 기사 내용을 반박하는 것은 물론 기사를 쓴 기자를 직접 비판하곤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월 신년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대한민국에서 저보다 많은 악플을 받아본 정치인은 없을 것”이라며 “기자들도 담담하게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너무 예민할 필요는 없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