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가상화폐 잠재적 가능성 공감… 국제공조는 필요”

입력 2018-03-21 11:18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주요 20개국(G20)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가상화폐)의 잠재적 가능성을 공감했다. 하지만 가상화폐 투자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국제 공조로 대응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G20 회원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21일까지 이틀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세계 경제의 주요 현안을 놓고 정책적 대응 방향을 논의해 결과를 발표했다.

자국 중심주의, 금융시장 불안정 가능성, 대외 불균형 심화 등이 세계 경제의 위험 요인으로 진단됐다. 통화정책 정상화, 구조개혁, 무역장벽 완화 등으로 ‘포용적 성장’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무역전쟁’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가상화폐 대응 방안도 논의됐다. G20은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기술이 금융체계의 포용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잠재적 가능성을 인정했다. 하지만 투자자에 대한 안전 장치가 취약하고, 탈세 및 검은돈 세탁과 같은 범죄 악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불거졌다.

G20은 금융안정위원회(FSB)를 중심으로 블록체인과 가상화폐를 연구해 국제적으로 공조할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FSB는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90%, 교역량의 80%를 차지하는 G20의 금융감독기구다. 이번 회의에선 가상화폐에 대한 국제 표준화도 언급됐다.

다만 회의를 앞두고 예상됐던 ‘강력한 규제 방안’은 나오지 않았다. FSB 의장인 마크 카니 영국은행 총재는 앞서 “가상화폐 시장가치가 세계 GDP의 1%에도 미치지 않는다”며 “규모가 작고 기존의 통화를 대체할 수 없어 실물경제와 금융에서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나머지 금융 체계와 연계성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차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는 다음달 20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