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4월 말과 5월로 예정된 남북-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진전 상황에 따라 남·북·미 3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21일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며 이 같은 예상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이 판문점에서, 그것도 군사분계선 남쪽 우리 땅에서 열리는 것은 사상 최초”라며 “아주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대통령 취임 1년 이내에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것도 사상 최초이고 역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면서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서 열리는 북미 정상회담은 회담 자체가 세계사적인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북미 정상회담은) 장소에 따라 더욱 극적인 모습이 될 수도 있다”며 “그리고 진전 상항에 따라서는 남·북·미 3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회담들과 앞으로 이어질 회담들을 통해 한반도 핵과 평화 문제를 완전히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북이 함께 살든 따로 살든 서로 간섭하지 않고 서로 피해주지 않고 함께 번영하며 평화롭게 살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우리가 가보지 않은 미답의 길이지만 우리는 분명한 구상을 갖고 있고, 또 남·북·미 정상 간 합의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분명한 목표와 비전을 갖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목표와 비전’을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북미관계 정상화, 남북관계 발전, 북미 간 또는 남·북·미 간 경제협력 등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준비위원회가 그 목표와 비전을 이룰 수 있는 전략을 담대하게 준비해주기 바란다”면서 “목표와 비전, 전략을 미국 측과 공유할 수 있도록 충분히 협의해 달라”고 덧붙였다.
또 “회담 자료를 준비할 때 우리 입장에서가 아니라 중립적인 입장에서 각각의 제안 사항이 남북과 미국에 각각 어떤 이익이 되는지, 우리에게는 어떤 이익이 있고 북한에는 어떤 이익이 있고, 또 미국의 이익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이익들을 서로 어떻게 주고받게 되는 것인지, 이런 것을 설명하고 설득할 수 있도록 준비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