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의 주요 방향을 두고 여야 입장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분권형 대통령·책임총리제를 제시했지만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문재인 정권에서 홍준표 한국당 대표가 총리를 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 자유한국당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상황이다. 문 대통령이 홍 대표 밑에 들어가는 상황이 걱정돼 이 난리를 치는 건가”라고 되받았다.
홍지만 한국당 대변인은 20일 논평을 내고 “홍준표 대통령 아래 문재인 총리 체제가 되더라도 그것이 제왕적 대통령을 벗어나고 특히 국회의 합의를 통해 마련된 국민적 안이라면 받아들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태년 정책위 의장의 개헌 관련 발언은 가관”이라며 “김 의장 말에는 개헌 이후에도 문 대통령이나 민주당이 장기 집권한다는 무시무시한 욕심의 냄새가 진동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무의식적으로 나온 말에 숨은 사악한 본심이다. 청와대와 민주당의 개헌 시도에는 장기집권 획책이라는 비민주적 음모가 깔려 있다”고 했다.
홍 대변인은 “제왕적 대통령제가 문재인 대통령이면 안 좋은 것이고 홍준표 대통령이면 괜찮은 것이라는 얘기가 아니다. 이 같은 진영 논리는 사절한다. 우리는 제왕성이 지난 수십년 한국 민주주의의 근본적 병폐였기 때문에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김 의장은 대통령 중임제와 지방분권, 감사원 국회 이관 등으로 제왕적인 요소가 없어진다고 했다. 이는 국민을 잠시 속여 보겠다는 지저분한 수작”이라며 “문 대통령이 그 자리에 1년간 앉아보니 너무 좋아서 바꾸기가 좀 그렇다는 것으로 들린다”고 비판했다.
이어 “민주당은 스스로 더불어 하기를 거부하면서 야당에게 더불어 하지 못하겠다고 한다. 자기가 하는 말과 행동이 뭔지를 모른다. 이 같은 당이 계속 집권당이어야 하는가. 제발 청와대에 개헌 놀음을 걷어치우라고 말하라”고 촉구했다.
전형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