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용광로’… 6者 정상들 결단의 봄

입력 2018-03-19 07:03
뉴시스

오는 5월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둘러싼 6개국 정상의 숨 가쁜 북핵 정상 외교가 가시화되고 있다. 4월 말 남북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한·미, 북·미, 한·일, 한·중·일 연쇄 회담이 추진되면서 향후 두 달이 한반도의 명운을 가를 ‘멜팅 팟(용광로)’이 될 전망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8일 “한반도 문제를 논의할 연쇄 정상회담 일정은 북·미 정상회담 날짜를 잡는 게 최우선”이라며 “그게 결정돼야 북·미 정상회담 전에 한·미 정상회담을 할 수 있는지, 그 이후에 한·일 또는 한·중·일 회담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의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을 전후로 주변 5개국 정상의 릴레이 회담이 이뤄질 수 있다는 뜻이다.

청와대는 남북→한·미→북·미→한·일 및 한·중·일 순으로 정상회담을 치르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남북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거친 뒤 미국에 이를 설명하고, 북·미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합의 도출을 이끌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나면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잘 조성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중국과 일본에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반도 비핵화 후속조치에 대한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6월 러시아월드컵을 계기로 문 대통령이 러시아를 방문한다면 6자회담 당사국 모두와 정상회담을 갖게 된다.

유례없는 정상 간 직접 외교가 잇달아 펼쳐지면서 한반도 비핵화 문제도 갈림길에 섰다는 평가다.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전격적인 합의를 기대할 수 있지만 한 번 어긋나면 되돌릴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각국은 잇단 정상회담에서 불거질 수 있는 변수를 제거하고 의제를 조율하기 위해 외교·안보·정보 라인을 통해 다각도의 실무접촉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이르면 19일 남북 정상회담 의제 조율을 위한 남북 고위급 회담을 북한에 제의할 예정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