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의 오른팔’ 복귀… ‘1인 천하’ 틀 다지기

입력 2018-03-19 00:08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앞줄 가운데)과 왕치산 국가부주석(왼쪽)이 17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체회의에서 각각 주석과 부주석으로 선출된 뒤 리커창 총리(오른쪽) 등의 박수를 받고 있다. 웃고 있는 시 주석, 왕 부주석과 달리 리 총리의 표정은 어두워 보인다. AP뉴시스

시, 군사위 주석도 만장일치… 당 총서기·국가주석·군사위주석 ‘3위 일체’ 지도체계 갖춰

퇴임했던 왕치산 파격 귀환… 미·중 무역갈등 해결 주력 향후 장기집권 플랜 짤 듯

리커창은 ‘무늬만 2인자’로 국가감찰위 주임 양샤오두 등 요직마다 측근 배치 황제급 권력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국가주석과 중앙군사위 주석에 만장일치로 재선출되며 장기집권에 시동을 걸었다. 시 주석의 ‘인생 동지’이자 ‘오른팔’인 왕치산 전 중앙기율검사위 서기는 국가부주석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개헌으로 장기집권 기반을 다진 시 주석은 최고 사정기구인 국가감찰위 주임과 중앙군사위 부주석 등에도 측근들을 배치해 명실상부한 ‘황제급’ 절대권력 구도를 갖추게 됐다.

시 주석은 17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제5차 전체회의 표결을 통해 2970명 대표의 만장일치로 국가주석과 군사위 주석에 재선출됐다. 지난해 19차 당대회에서 당 총서기로 재선출된 시 주석은 최근 개헌으로 국가주석 임기제한도 없어져 당 총서기-국가주석-군사위주석 ‘3위 일체’ 지도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핵심 요직에는 시 주석 측근들이 발탁됐다. 특히 모든 시선은 왕치산에게 쏠려 있다. 왕치산은 산시성 하방(下放·공직자를 일정기간 지방에 보내는 것) 시절, 5년 후배인 시 주석과 한 이불을 덮고 밤새 토론했던 끈끈한 인연이 있다. 지난해 10월 중국 최고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에서 물러난 왕치산은 전인대에서 국가부주석으로 선출됐다. 퇴임한 상무위원이 국가부주석을 맡는 것은 파격이다. 69세인 그의 복귀로 중국 최고지도부의 불문율이었던 7상8하(67세는 유임, 68세는 은퇴)도 유명무실해졌다.

왕치산은 전인대 개막식에서 7명의 상무위원 다음으로 입장해 이미 ‘제8 상무위원’이란 별칭을 얻었다. 지난 5년간 부패와의 전쟁을 진두지휘하며 시 주석 ‘1인 권력’ 구축에 공헌한 그는 우선 외교 분야를 총괄하며 미·중 무역갈등 해결에 주력할 전망이다. 그는 20여년간 경제·외교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으며 ‘해결사’ ‘소방수’란 명성을 얻었다. 따라서 왕치산이 향후 특정 분야가 아닌 국정 전반을 조율하며 시 주석의 절대권력과 장기집권 플랜을 완성하는 역할을 맡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저승사자’였던 왕치산이 현직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정적들의 저항 의지가 무력화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리커창 총리는 18일 재선임되며 자리를 지켰지만 시 주석의 측근들에게 실권을 넘겨주고 명목상 2인자에 머무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시진핑-리커창 체제가 지고 시진핑-왕치산 구도가 탄력을 받는 모양새라 할 수 있다.

국가감찰위원회 초대 주임에는 양샤오두 중앙기율검사위 부서기 겸 감찰부장이 선임됐다. 국가감찰위는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와 행정부인 국무원의 감찰 조직 등을 통합한 거대조직으로 공적인 영역의 모든 사람을 조사대상으로 하며 재산 동결과 몰수 권한까지 갖고 있다. 당초 상무위원인 자오러지 중앙기율검사위 서기가 겸임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정치국원인 양샤오두가 선임됐다. 양샤오두는 왕치산이 중앙기율위 서기로 있을 때 부서기로 보좌했다. 상하이 지역 ‘홍색자본가’(공산당의 노선을 적극 지지하는 자본가) 집안 출신인 그는 티베트 오지에서 25년간 지냈다. 2007년 상하이시 서기로 부임한 시 주석은 당시 양샤오두 통일전선부장의 청렴함과 기개를 보고 ‘크게 쓸 인물’로 평가했다고 한다.

인민해방군의 최고 지휘부인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에는 시 주석의 호위대로 불리는 쉬치량 현 부주석과 장유샤 장비발전부장이 선임됐다. 저우창은 최고인민법원장, 장쥔 전 중앙기율검사위 부서기는 최고인민검찰원 검찰장에 각각 선임됐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