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등 전국 44개 대학 여교수회가 성폭력 피해를 고발하는 ‘미투(#MeToo) 운동’에 대해 “우리 사회의 구조와 체질을 바꾸는 시발점이 돼야 한다”며 18일 지지를 선언했다.
교수들은 선언문에서 “사법·문화·정치계 등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는 ‘미투’ ‘위드유’ 목소리는 오랫동안 누적된 성차별과 일상화된 여성 비하라는 구조적 문제를 표출하고 있다”며 “현재의 미투 운동이 사회 전반을 개혁하는 운동으로 진화한다면 한국사회 성장을 위한 값진 기회”라고 평가했다.
우리 사회의 자발적인 자정 움직임이 선정적인 폭로 경쟁 속에 묻히거나 정치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자 하는 정파 싸움으로 축소되는 일에 대해선 우려를 표했다.
교수들은 “현재의 운동이 폭로나 고발에 그치지 않아야 하며 정파적 대립으로 그 의미가 왜곡되지 않기를 바란다”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제도 개선을 위한 합리적 논의가 진행돼야 하며 특히 정부는 이 기회를 지속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정책으로 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내 대학의 평교수 조직이 수평적으로 연대해 특정 사회운동에 대한 지지 선언문을 공동으로 발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번 선언은 서울대학교 여교수회에서 최초 발의해 전국 국·공립대, 사립대 등 총 44개 학교 평교수 조직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전화숙 서울대 여교수회장은 “이번 선언을 준비하며 여교수들의 폭발적인 호응에 놀랐다. 전체 대학의 평교수 조직 연락망조차 없던 상태에서 단 며칠만에 44개 학교가 선언에 동참했다는 것은 미투 운동에 대해 이미 깊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는 증거”라고 밝혔다.
이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