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말쯤 판문점에서 열릴 3차 남북 정상회담은 사상 첫 ‘출퇴근’ 정상회담이 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정상회담 후 각각 서울과 개성 등으로 돌아갔다가 이튿날 회담을 이어가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6일 “남북 정상 간 대화가 더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리면 일단 귀환했다가 1∼2일 뒤 다시 만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상황에 따라서 이틀, 사흘간 정상회담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상 간 오·만찬도 판문점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이 관계자는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는 별도 만찬장이 마련돼 있다”며 “상황에 따라서 판문점에서 두 정상이 식사를 같이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과거 평양에서 열렸던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 기간엔 정상들의 일정이 많았다.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은 2박3일 동안 정상회담 외에 환영만찬, 북한 혁명사업관 및 자동차 공장 참관, 아리랑 공연 관람 등의 행사를 했다. 하지만 이번 정상회담은 판문점에서 개최되는 만큼 별도 행사를 하기 어렵다. 필요할 경우 양 정상이 모두 귀환했다가 다음 날 다시 만날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는 이날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첫 전체회의에서 대북 특사단의 방북 결과에 대한 후속조치도 논의했다. 남측 예술단과 태권도 시범단의 평양 방문 공연을 4월 초 추진키로 하고 다음 주 북한과 판문점 실무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단장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맡는다. 남북 정상 간 핫라인 구축 문제는 이달 말 고위급 회담에서 북한과 협의키로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통일부와 국가정보원을 비롯해 북한과 필요할 때 협력할 수 있는 체계는 구축돼 있다”고 말했다.
준비위는 또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자문단을 30명 내외 규모로 구성키로 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두 차례 정상회담의 경험을 공유하고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자문단을 위촉하기로 했다”며 “북한과 접촉 경험이 많은 원로 전문가와 한반도 문제 해결을 오래 고민해온 전문가를 위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