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미투 운동은 남녀평등으로 가는 전환점”

입력 2018-03-17 06:00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16일 “미투(#MeToo·나도 당했다) 운동은 지금껏 우리 사회가 가볍게 치부했던 남성중심의 문화에서 남녀평등의 문화로 사회 인식구조를 바꾸는 문명적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행안부 성희롱·성폭력 조사위원회’ 위촉식에서 “위원직을 수락해 주신 위원들께 감사드린다”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대한민국의 정치 민주화를 가져온 1987년 6월 항쟁이 있었던 후, 그해 7월부터 노동자들의 권리를 찾는 운동이 대대적으로 진행됐다”면서 “마찬가지로 광장을 밝혔던 촛불이 우리 민주주의를 정상화했고, 지금은 미투 운동으로 이어져 시민사회의 민주화를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투 운동을 음모론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사회를 민주화하고 정상화하는 ‘촛불혁명’의 연속선상에 있는 거대한 변화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지금까지는 문제를 덮는 데 급급했다면 이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고, 그간 곪아 터진 부분을 덜어내 수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이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고,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가 가장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새로 출범한 위원회는 행안부 내부 비밀게시판 형태의 온라인 신고센터에 접수된 성희롱ㆍ성폭력 제보를 토대로 조사에 나서게 된다. 위원회는 관련 분야에서 경험과 전문성을 지닌 여성ㆍ법조계 외부전문가 4명과 행안부 여성 간부, 직원 4명의 내부위원으로 구성됐다.

피해자에 대한 2차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해자와 피해자를 격리하고 필요시 상담치료를 하는 등 보호조치도 진행된다. 우월적 지위를 악용하는 성희롱 특성을 고려해 관리자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전 직원이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과 집합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조사위원들의 신원도 공개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조사위원들의 신원이 공개될 경우 공정한 조사가 어렵다고 판단한 조치다.

김동운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