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장애 뚜렛증후군, 3월에 높아질 수 있어 유의해야

입력 2018-03-16 16:00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 학교를 다녀온 아이가 눈의 깜빡임이 잦아져 얼굴을 찡그리거나 의미 없는 특정 단어를 소리 내는 등 이상 행동이 자주 관찰된다면 ‘틱증상’을 의심해 봐야 한다.

평상시 가벼운 틱증상에 그치는 경우, 부모의 인지 없이도 지나가기도 한다. 하지만 새 학기가 되어 아이가 본인 의도와는 상관없이 눈을 지속적으로 찡긋하는 빈도가 높아지거나, 몸을 튕기는 증상이나 목을 반복적으로 가다듬는 등 다양한 증상이 부모의 눈에 띄는 경우가 있다. 3월 새 학기에 스트레스가 높아지면서 증상이 다양하게 변하기 때문인데, 전문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함께 치료를 서두르는 것이 좋다.

틱장애 치료를 10여년 동안 연구해 온 국제 응용근신경학 소아전문의이자 강남 아이두한의원 대표 이승협 원장은 “틱증상은 기본적으로 운동행동장애의 일종이다. 대뇌피질(C)-대뇌기저핵(S)-시상(T)-대뇌피질(C)로 이어지는 운동을 통제하는 CSTC회로의 문제인데, 스트레스 등 감정적인 부분이 CSTC운동회로에 영향을 많이 준다. 마치 사고 난 장면을 목격하면 어른도 그 자리에서 얼어붙듯이 말이다. 특히나 운동회로가 정교하게 형성되지 않은 아이들은 스트레스에 더욱 취약성을 보여, 비정상적인 운동패턴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것이 새 학기에 틱장애가 늘어나는 이유다”고 전한다.

틱장애를 극복한 사례를 인터넷을 통해 보면, 등산을 하거나 쥬스를 마시거나 특정 영양제 등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된다. 이는 CSTC운동회로 자체가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가벼운 틱증상의 경우 어떠한 방법도 잘 작동할 수 있다.

문제는 오랫동안 틱증상이 유지되거나 심리적인 기질이 약한 아이들의 경우 한가지 방법을 고집하다가 증상이 심해지면서, 틱으로 인한 이차적인 심리적 위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새학기에 틱이 심해지는 아이일수록 정서적인 면에 영향을 받으므로 부모님들과 아이가 정서적 공감대를 가지는 방향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화된 CSTC회로를 진단하고 아이의 증상에 맞춰 심리적 신경학적인 문제를 두루 확인하는 것이 올바른 치료를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원장은 “틱장애의 경우, MRI와 같은 영상진단을 하더라도 좌우 기저핵이나 뇌량의 크기가 다르다는 특징 이외에는 원인을 찾아낼 수 없다. 운동회로상의 문제이기 때문에 마치 MRI를 보고 운동을 잘하는지 못하는지 알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응용근신경학 검사처럼 실제로 근육을 통해 신경시스템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의학적인 검사는 어느 부위의 운동회로가 약한지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해볼 수 있다. 원인을 잘 파악하면 증상의 해결을 위한 방향도 잘 설정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