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개회식에서 남북 선수단의 공동입장이 무산됐다. 한반도기에 독도 표시를 두고 남북의 의견이 엇갈렸기 때문이다. 다만 남북 선수가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 들어서는 성화봉송 주자로 나란히 나서기로 합의했다.
대한장애인체육회는 8일 “북측과 협의한 결과 개회식 때 남북이 공동입장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남북 선수단은 9일 오후 8시 강원도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리는 평창패럴림픽 개회식에서 개별 입장한다.
공동입장이 무산은 한반도기에 독도를 표시하느냐를 두고 남북의 의견이 엇갈린 탓이었다. 북측은 독도 표시를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남측은 ‘정치적 표현 금지’ 조항을 들어 반대했다.
이명호 대한장애인체육회 회장은 이날 오후 북한 대표단장인 김문철 조선장애자보호연맹 중앙위원회 위원장과 강원도 평창선수촌에서 만나 남북 공동입장 문제를 협의했다. 김 위원장은 “독도를 한반도기에 표시하지 않는 것은 한민족의 자존심에 상처를 받는 것”이라며 “일본이 한반도 분단에 책임이 있는 만큼 반드시 독도를 넣어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장애인체육회는 독도 표시가 IPC의 ‘정치적 표현 금지’ 조항에 어긋난다는 점에서 반대 의사를 표했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부터 사용된 한반도기에도 독도 표시가 없었던 점, 2020년 하계올림픽이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점 등도 고려했다.
결국 양측은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개별 입장이 결정됐다. 개최국인 한국은 49개 참가국 중 마지막에 입장하고, 북한은 일본 다음으로 입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회장의 긴급제안으로 남북 선수가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 들어설 첫 성화 봉송 주자로 나서기로 합의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