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탐색 대화 통로 열어”… 보수野 “속는 걸 수도”

입력 2018-03-07 19:40


문재인 대통령은 7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5당 대표 회동에서 특사 방북 결과에 대해 “북한과 탐색적인 대화를 할 수 있는 통로를 연 것”이라며 보수 야당 대표들의 이해를 구했다. 천안함 폭침과 배후로 지목된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의 방남에 대해선 “남북대화를 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으니 양해해 달라”는 뜻도 전했다. 하지만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는 남북 정상회담 주요 의제로 핵 폐기 문제가 다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회동에선 홍 대표가 거듭 “북한의 위장평화 공세에 속을 수 있다”고 주장해 문 대통령과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다음은 문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 대화록 재구성.

△문재인 대통령=대북 특사가 가서 대화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이번 조치가 실질적인 비핵화를 이룬 것은 아니지만 탐색적 대화를 할 수 있는 통로는 연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려도 있지만 낙관하거나 비관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차근차근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

△홍준표 대표=분명한 핵 폐기 전제가 없는 남북 정상회담은 의미 없다. 정상회담을 할 때 어떤 이유로도 핵 동결이나 탄도미사일 개발 잠정 중단으로 몰아가면 안 된다.

△유승민 대표=비핵화가 반드시 남북 정상회담 의제가 돼야 한다. 북한이 말하는 비핵화와 우리가 말하는 비핵화 의미가 다를 수 있다.

△문 대통령=궁극적인 목표는 비핵화다. 그러나 바로 핵 폐기로 가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이런저런 로드맵을 거쳐 완전한 핵 폐기에 이르도록 합의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다. 비핵화 입구는 동결이고 출구는 완전한 비핵화라든지 막연한 방법을 제시하고 했지만 앞으로 보다 구체적인 협의가 필요하다.

△홍 대표=핵 동결로 비핵화 문제가 합의되면 국가적 대재앙이 올 것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 드린다.

△유 대표=남북 대화가 시작된다고 해서 대북 제재가 완화거나 흔들리는 일이 없을 거라고 발표해주셨으면 좋겠다.

△문 대통령=대화를 시작했다는 것만으로 대북 제재나 압박이 이완되거나 보상하는 건 없다. 남북 간 이면합의도 없다. 한·미가 일치된 입장을 가져야 훨씬 더 비핵화를 위한 대화가 잘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유 대표=천안함 폭침 사건과 연결된 김영철 방남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

△문 대통령=김영철이 천안함 폭침과 관련해 구체적인 책임이 확정된 게 없는데, 포괄적 책임만으로 대화를 안 할 수는 없었다는 걸 이해해주면 좋겠다.

△홍 대표=2005년 통일부 합의문보다 진전된 내용이 없다. DJ 때도 북한에 많이 속았다. (북한에) 시간을 벌어주면 안 된다. 또 4월 말인 정상회담 시점도 6·13 지방선거 전이고, 한·미 연합 군사훈련이 정점일 시기여서 주변에 의심이나 우려의 소리가 있다.

△정의용 실장=4월 말 시점은 국내 정치와 연관해 생각한 적이 한 번도 없다. 북한도 더 이상 한·미 연합훈련을 문제삼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이 대선 후보일 때 공약이 임기 1년 내에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런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고 싶었다.

△홍 대표=이번 회담이 북한의 시간벌기용으로 판명나면 거기에 대한 대안 있느냐.

△문 대통령=역으로 그렇다면 홍 대표는 어떤 대안이 있느냐.

△홍 대표=모든 정보, 모든 군사 상황과 모든 국제사회 정보를 총망라하는 대통령이 나한테 물으면 어떡하느냐.

노용택 이종선 문동성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