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천안함 폭침’의 배후로 알려진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방남을 허용한 데 대해 “남북대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여야 5당 대표와의 청와대 오찬 회동에서 “김영철의 방남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는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의 요구에 이같이 답하며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김영철은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에 북측 고위급대표단 단장으로 남한에 방문해 논란이 일었다. 군 출신인 김영철은 2010년 당시 인민군 총참모부 정찰총국장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의 배후로 지목돼 왔기 때문이다.
논란이 일었지만 정부는 김영철의 방남을 수용했다. 김영철이 천안함 폭침의 배후라는 공식 조사 결과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당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과거 천안함 사건 때 여러 추측이 있었지만 당시 조사 결과 발표에서 주역이 누구인지와 관련한 부분은 없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도 국회 외통위에서 “과거 국방부가 천안함 도발의 구체적인 책임소재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자유한국당은 지난달 25일 “김영철이 한국 땅을 밟게 하지 않겠다”며 김영철의 이동경로였던 경기도 파주 통일대교에서 밤샘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이 때문에 김영철 등은 통일대교를 피해 군사용 교량인 전진교를 통해 남쪽으로 향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