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수사받는 옛 MB맨… ‘靑 출신 변호인단’ 꾸린 MB

입력 2018-03-06 07:05
천신일(왼쪽) 최시중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불법자금 수수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5일 천신일 세중나모여행 회장과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을 소환조사했다. 이 전 대통령 직접 조사를 앞두고 옛 MB맨들이 다시 검찰 수사망에 오르고 있다. 불법자금 수수 과정의 마지막 길목을 확인하는 단계로 풀이된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천 회장과 최 전 위원장의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이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과 송정호 청계재단 이사장도 동시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앞서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2007년 10월 이 전 대통령의 둘째 형 이상득 전 의원에게 8억원을 건네는 등 2007∼2011년 모두 22억5000만원의 불법자금을 전달한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이다. 최등규 대보그룹 회장의 수억원대 뇌물 의혹, 김소남 전 국회의원이 전달한 4억원대 공천헌금 의혹 등에 대한 수사도 진행되고 있다.

검찰은 이들이 이 전 대통령이 출마한 2007년 17대 대선을 전후로 불법 자금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관문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최 전 위원장은 2008년 3월 MB정부 첫 방통위원장으로 취임, 종합편성채널 선정 등 방송정책을 진두지휘하며 ‘방통대군’으로 불릴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대선 캠프 때부터 MB의 멘토를 자임했던 그가 대보그룹 최 회장 등을 캠프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이 전 대통령의 고려대 동기인 천 회장은 절친한 친구로 불리는 숨은 실세였다. 자기 예금을 담보로 이 전 대통령 특별당비 30억원을 대출받게 해주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정두언 전 의원은 재계 인맥이 넓은 그가 기업 등의 불법자금 전달에 메신저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지목한 바 있다.

박 전 차관도 MB정부에서 왕차관으로 불리던 실세였다. 막강한 권력을 누리던 세 사람은 모두 이 전 대통령 재임 중 비리 혐의에 얽혀 실형을 선고받았다.

다만 이 전 대통령이 임기를 불과 한 달여 남긴 2013년 1월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최 전 위원장과 최 회장을 특별사면, 나란히 자유의 몸이 됐다.

검찰은 기존 다스 차명재산 수사와 관련, 이 전 대통령 큰형인 이상은 다스 회장을 지난 1일에 이어 4일 비공개로 다시 불러 조사하는 등 막판 다지기에 들어갔다. 조카 이동형 부사장도 비공개 조사했다.

이 전 대통령 측도 과거 청와대 근무 경력이 있는 법조인들 중심으로 변호인단을 꾸려 방어전략 마련에 들어갔다. 판사 출신으로 대통령 법무비서관을 지낸 강훈 변호사, 검찰 출신으로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지낸 정동기 변호사 등이 변호인으로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다스는 맏형인 이 회장 것”이라는 주장을 고수하는 등 주요 혐의 대부분을 부인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민영 황인호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