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北 비핵화 없으면 제재 유지… 남북-북·미 대화 상호추동 돼야”

입력 2018-03-05 14:33
뉴시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5일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대북 제재와 압박은 계속 유지될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과 북한이 비핵화 대화에 임할 수 있도록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북한 비핵화를 위해서는 남북대화와 북·미 대화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관 ‘세계기자대회’ 오찬사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남북대화가 마련되고, 북·미 대화 분위기도 무르익는 데 대해 이같이 말했다.

강 장관은 “현재까지 북한은 미국과 비핵화 대화에 임하겠다는 어떤 의향도 보이지 않고 있다”며 “하지만 북한은 강력한 제재가 부과된 현 상황에서 미국과의 담판 없이는 자신의 핵심이익이 보장될 수 없다는 점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지금의 기회를 놓치지 말고 진솔한 대화에 임할 것을 촉구한다”며 “이 과정에서 정부는 대화의 동력을 유지하고 북한 비핵화 로드맵을 그려나가기 위해 미국과 긴밀히 공조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파견된 대북 특별사절단과 관련해서는 “비록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북·미 간 직접적인 접촉은 없었지만 우리 정부는 양측 대표단과의 논의를 통해 미국과 북한 모두 직접 대화할 의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우리 정부는 대북 특별사절단 파견을 통해 북한의 대화 의지를 추가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또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남북대화 재개의 구체적인 동기가 무엇이든 이는 우리 정부의 꾸준한 대북 관여 노력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라고 자평하면서도 “하지만 우리는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에 진전이 없을 경우 남북대화의 진전과 남북관계 개선이 이뤄질 수 없음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북·미 간 직접 대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는 상호추동적 방식으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대화 국면으로 안정적인 전환을 위해 역내 파트너 국가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북핵문제의 근원적 해결과 한반도에서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국제사회와의 협력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