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에서 ‘영미야∼’의 감동을 이어간다. 한국 여자 컬링 대표팀은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영미 열풍’을 일으키며 은메달을 따냈다. 휠체어컬링 대표팀은 “우리도 한번 일을 내 보겠다”며 전의를 다지고 있다.
백종철(42) 감독과 스킵 서순석(47), 리드 방민자(56·여), 세컨드 이동하(45), 차재관(46), 서드 정승원(60)으로 구성된 휠체어컬링 대표팀은 1차적으로 4강을 목표로 잡았다. 휠체어컬링은 컬링과 달리 브룸으로 얼음판을 닦는 스위핑이 없다. 빙질을 고려한 스톤 투구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긴 딜리버리 스틱을 활용, 선수들은 더 신중하게 투구를 한다. 투구 선수 뒤에는 다른 동료가 붙어 휠체어가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평창패럴림픽 휠체어컬링엔 캐나다, 스웨덴, 영국 등 12개국이 출전한다. 동계올림픽 컬링은 남녀부와 혼성(2인조)으로 나눠 열리는데 패럴림픽은 남녀 혼성 종목으로만 치러진다.
한국 휠체어컬링 대표팀(세계 랭킹 7위)은 이번 평창패럴림픽에서 메달 유력 후보로 꼽힌다. 대표팀은 지난 1월 패럴림픽을 앞두고 모의고사 성격으로 치른 2018 키사칼리오 오픈서 결승에 올라, 강호 노르웨이와 접전을 벌인 끝에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 지난달 열린 브리티시오픈에선 전승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기세를 올리고 있다.
훈련 장소인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훈련원 컬링경기장엔 최근까지 패럴림픽을 대비, 실제 관중석의 모습을 담은 대형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또 관중들의 응원 소리를 녹음, 훈련 때마다 틀어놓는 등 실전 적응에 힘써 왔다.
백 감독은 4일 “현재 현수막을 철거했는데 느낌이 완전히 다르다”며 “실전과 같은 환경에서 해온 훈련이 앞으로 시합 때 더욱 효과를 낼 거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국민들께서 경기장을 많이 찾아 응원을 해주시면 좋겠다. 현장 응원이 상대 팀 선수에겐 심리적 부담이 되고, 우리 선수들에겐 힘을 준다”고 강조했다.
휠체어컬링 대표팀은 이천훈련원에서 막바지 훈련을 마무리하고 오는 6일 평창선수촌에 입촌한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