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이대목동병원에서 발생한 신생아 연쇄 사망사건이 주사제 준비과정에서 균 오염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4일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는 신생아의 패혈증 원인에 대해 "주사제 준비 단계에서의 오염이 역학적 개연성이 있다"고 경찰에 통보했다.
질본은 신생아들의 사망 원인이 시트로박터 프룬디 감염에 의한 패혈증이라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 결과를 토대로 세균 감염 경로를 조사해왔다.
질본은 사망 전날인 지난해 12월 15일 신생아들에게 오염된 지질영양제 스모프리피드가 투여돼 패혈증을 유발한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주사제 자체나 주사제를 신생아들에게 투여하는 과정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의료진들이 주사제를 개봉해 수액 세트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위생지침을 어겨 균에 오염됐을 개연성이 있다고 봤다.
앞서 경찰 조사 결과 이대목동병원이 지질영양제 1병을 여러 명에게 나눠 투약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경찰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지난 1월 신생아중환자실 주치의인 조수진 교수 등 의료진 5명을 업무상 과실 치사 혐의로 입건한 데 이어 신생아중환자실 소속 교수 2명을 같은 혐의로 추가 입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