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2일 문재인 대통령의 여야 당대표 회동 제안에 조건부로 승낙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회동에 부정적이었던 홍 대표는 이날 오전 강효상 비서실장을 통해 조건부 참석 의사를 한병도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전달했다.
홍 대표가 회동참여를 위해 내건 조건은 ▲안보로 의제 국한 ▲실질적인 논의 보장 ▲대통령의 일방적 통보형식 불가 ▲초청 대상은 원내교섭단체 한정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 대표는 지난해 7월과 9월에 열린 청와대 여야대표 회동을 '정치적 쇼'라며 불참했다. 대신 같은 해 11월 방미 당시 청와대에 1대 1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하지만 청와대를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성사되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청와대와 제1야당 간의 기싸움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이처럼 영수회담에 부정적이었던 홍 대표가 조건부로 승락한 배경에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중 각각 방한한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과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문제, 대북특사 문제 등 안보와 관련된 사안이 엄중하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특히 김 부위원장이 방남했을 때 '핵보유국의 지위를 갖고 미국과 대화 하겠다'는 뜻을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이번 영수회담에서 김 부위원장과 관련된 사안을 짚고 넘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진단된다.
홍 대표의 조건부 회동 승낙의 다른 이유는 약 3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서 청와대와 대립각을 세워 '보수 정당'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이를 통한 선거 동력을 얻기 위해서라는 분석도 있다.
홍 대표가 회동 승낙 조건으로 '대통령의 일방적 통보형식 불가'를 내세운 만큼 영수회담에서 대북 문제와 관련해 자신의 의견을 강력하게 내비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한편 청와대는 홍 대표가 내건 조건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가 조건을 수락하면 홍 대표는 취임 이후 8개월 만에 처음으로 청와대 회동에 참석하게 된다.
김태현 기자 tae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