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표, 청와대 회동 조건부 승락 이유는?

입력 2018-03-03 09:24
홍준표 대표가 2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실 주관 국민개헌 大토론회 ‘국민이 원하는 개헌을 듣는다’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2일 문재인 대통령의 여야 당대표 회동 제안에 조건부로 승낙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회동에 부정적이었던 홍 대표는 이날 오전 강효상 비서실장을 통해 조건부 참석 의사를 한병도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전달했다.

홍 대표가 회동참여를 위해 내건 조건은 ▲안보로 의제 국한 ▲실질적인 논의 보장 ▲대통령의 일방적 통보형식 불가 ▲초청 대상은 원내교섭단체 한정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 대표는 지난해 7월과 9월에 열린 청와대 여야대표 회동을 '정치적 쇼'라며 불참했다. 대신 같은 해 11월 방미 당시 청와대에 1대 1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하지만 청와대를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성사되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청와대와 제1야당 간의 기싸움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이처럼 영수회담에 부정적이었던 홍 대표가 조건부로 승락한 배경에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중 각각 방한한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과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문제, 대북특사 문제 등 안보와 관련된 사안이 엄중하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특히 김 부위원장이 방남했을 때 '핵보유국의 지위를 갖고 미국과 대화 하겠다'는 뜻을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이번 영수회담에서 김 부위원장과 관련된 사안을 짚고 넘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진단된다.

홍 대표의 조건부 회동 승낙의 다른 이유는 약 3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서 청와대와 대립각을 세워 '보수 정당'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이를 통한 선거 동력을 얻기 위해서라는 분석도 있다.

홍 대표가 회동 승낙 조건으로 '대통령의 일방적 통보형식 불가'를 내세운 만큼 영수회담에서 대북 문제와 관련해 자신의 의견을 강력하게 내비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한편 청와대는 홍 대표가 내건 조건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가 조건을 수락하면 홍 대표는 취임 이후 8개월 만에 처음으로 청와대 회동에 참석하게 된다.

김태현 기자 tae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