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이주열(66) 한국은행 총재 연임을 2일 확정했다. 역사상 세 번째 연임으로 김성환 전 총재(1970∼78년) 이후 40년 만이다. 한은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 의장을 겸임하게 된 98년 이후로는 처음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다른 나라는 중앙은행 총재가 오래 재임하면서 통화정책을 이끄는 만큼 한국도 적용 가능한지 살펴보라고 했다”면서 “한국은행 중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겠다는 대통령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총재는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식견을 지니고 있는 데다 한·중, 한·캐나다, 한·스위스 통화스와프 체결 등 국제금융 분야의 감각과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박근혜 정부시절인 2014년 4월 취임했다. 이달 말 4년 임기를 마무리할 예정이었다. 따라서 연임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보통 정권 교체는 곧 총재 교체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향후 경제정책 운용방향은 ‘안정’에 방점을 두겠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는 분석이다.
이 총재는 소감을 발표하면서 “총재 연임은 거의 전례가 없었던 만큼 저도 큰 영광이지만 중앙은행의 중립성과 역할의 중요성을 인정받았다는 면에서 명예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훨씬 더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국회 청문 절차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청문회를 거쳐 이 총재는 4월 새 임기를 시작한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