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성추행 사건 진상규명·피해회복 조사단이 안태근 전 검사장의 성추행 의혹 수사를 위해 최교일(사진) 자유한국당 의원과 조사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조사단은 최 의원의 직접 출석을 요구하고 있지만 최 의원 측은 서면조사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의원 조사 내용은 안 전 검사장의 ‘서지현 검사 인사 불이익’ 혐의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조사단은 지난달 28일부터 최 의원 측과 조사 일정을 조율해 왔다. 당초 조사단 측은 “더 이상 시간을 지체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2일까지 소환 일정을 잡겠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최 의원 측이 직접 출석에 난항을 표하면서 조사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최 의원 측은 2일 “특별한 혐의점이 없다는 전제 하에서 서면조사를 포함한 여러 가지 조사방안을 (조사단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참고인 신분인 최 의원을 조사단이 강제로 소환할 방법은 없다. 조사단 측도 “최 의원 측과 조사 시기·방법을 조율하고 있다”고 했다.
서 검사가 안 전 검사장에게 성추행을 당했다고 밝힌 시점(2010년)에 최 의원은 법무부 검찰국장으로 근무했다. 임은정 서울북부지검 검사는 “당시 최 의원으로부터 ‘피해자(서 검사)’가 가만히 있는데 왜 들쑤시느냐는 질책을 받았다”고 했다. 최 의원은 “임 검사를 불러 호통을 친 기억이 없다”고 반박했다. 조사단은 최 의원을 상대로 성추행 사건 은폐 시도 등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한편 조사단은 2015년 회식 자리에서 후배 검사를 성추행한 의혹을 받고 있는 전직 검사 A씨를 강제 조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당시 서울의 한 검찰청에서 근무했던 A씨는 검찰 내부에서 성추행 사건이 논란이 되자 사표를 내고 대기업 법무팀으로 전직했다.
조사단은 미국 연수 중인 A씨에게 자진 출석하라고 통보했다. A씨는 조사단에 이렇다 할 답변 없이 현재까지 귀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단은 소환 통보한 시점까지 A씨 측의 반응이 없을 경우 법무부에 여권무효를 신청할 방침이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