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가해자 日, 끝났다 말해선 안돼”… ‘위안부·독도’ 반성 촉구

입력 2018-03-02 01:26
1일 오전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 99주년 3.1절 기념식 후 독립문까지 행진한 문재인 대통령내외가 참석자들과 만세를 부르고 있다. . 2018.03.01 청와대 사진기자단/동아일보원대연

“위안부는 반인륜적 범죄행위 불행한 역사일수록 기억해야
독도, 가장 먼저 강점 당한 땅… 사실 부정은 반성 거부하는 것
촛불로 이어진 3·1 정신 대한민국 새 주류로 세울 것”

문재인 대통령은 제99주년 3·1절 기념사에서 일본군 위안부 및 독도 문제를 정면으로 거론하며 일본의 반성과 참회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친일파 기득권 세력을 청산하고 대한민국 주류 세력을 바꿔나가겠다는 뜻도 천명했다.

문 대통령은 1일 서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독도는 일본의 한반도 침탈 과정에서 가장 먼저 강점당한 우리 땅”이라며 “일본이 그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반성을 거부하는 것이나 다를 바 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가해자인 일본 정부가 ‘끝났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며 “전쟁 시기에 있었던 반인륜적 인권범죄 행위는 끝난다는 말로 덮어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불행한 역사일수록 그 역사를 기억하고 그 역사로부터 배우는 것만이 진정한 해결”이라며 “일본은 인류 보편의 양심으로 역사의 진실과 정의를 마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대통령 언급은 일본에 과거사 인식 전환을 촉구하고 한·일 위안부 합의를 비롯한 갈등 사안의 후속조치를 요구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일본에 특별한 대우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일본이 고통을 가한 이웃나라들과 진정으로 화해하고 평화공존과 번영의 길을 함께 걸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3·1운동 정신이 촛불혁명으로 이어졌음을 상기시키며 대한민국 주류 세력을 일신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촛불이 다시 밝혀준 국민주권의 나라를 확고하게 지켜나갈 것”이라며 “3·1운동 정신과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대한민국 역사의 주류로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주류 교체의 시발점으로 독립운동의 역사를 새롭게 기록·발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2020년 문을 열게 될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에는 3·1운동에 참가한 나무꾼도, 광부도, 기생들도 자랑스러운 독립운동가의 이름으로 새겨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내외 독립운동 유적 및 독립운동가 발굴, 중국 충칭의 광복군총사령부 복원 등도 약속했다.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독도 문제를 언급한 것은 2007년 노무현 대통령 이후 11년 만이다. 또 일제가 독립운동가를 수감, 고문했던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3·1절 기념식이 열린 것도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기념식 후 시민들과 함께 독립문까지 행진하며 3·1운동을 재연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