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소용 음식물쓰레기처리기를 제조 유통하는 ‘하연’은 국가 조달청 공급계약을 완료해 학교, 관공서 등 공공기관에 납품이 가능해졌다.
조달청과의 공급계약 체결은 KC 안전 확인 증명서부터 직접생산 가능한 공장심사와 제품적정성능, 성적서 등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연은 모든 심사과정을 통과하며 조달청 공급계약을 체결, 업소용 음식물처리기의 제품을 다시 한번 검증받은 셈이다.
하연은 이번 조달청 공급계약 체결 후 현재 일선학교에 납품을 시작했고, 약 600여곳의 사업장을 운영하는 대기업 외식사업부와 렌탈계약 체결을 위한 지정 사업장에서 실사용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그 결과 효율성과 가성비 및 법률적인 부분에 대해 긍정적인 검증을 마친 상태이며 공공주택(아파트)의 입주자협의회, 관리사무소 시설관계자 등이 음식물처리기 설치와 관련해 지자체에 사용 적법성에 관한 사항과 제조공장 방문 등의 실사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을 한 상태로 복합건물 등에서는 설치해 사용하고 있다.
하연음식물처리기는 미생물 액상발효 소멸방식으로 주방(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생물학적 처리방식인 친환경 미생물을 이용해 완전 액상으로 발효분해 소멸처리 해 합법적으로 물과 함께 하수관이나 오수관에 배출하기 때문에 처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되는 곳에서 즉시 처리가 가능해 냄새 없는 주방환경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매월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전기비용이 1만~5만원 수준으로 가동으로 인한 추가비용 발생이 적다. 또한 감량기, 분쇄기, 미생물 발효건조, 가열건조방식들과는 달리 부산물발생이 없어 별도의 음식물쓰레기통이나 2차 부산물처리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설치 후 음식물류 폐기물 자가처리 신고증명서를 지자체들에서 발급받아 폐기물 관리법 문제를 해소했다. 현재 학교와 호텔, 약2만평 규모의 리조트와 연 140억원 매출을 하는 외식업체, 하루 평균 5천명이 내방하는 웨딩홀 뷔페식당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사용결과 기존 월 위탁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고 음식물쓰레기는 완전 소멸처리 되고 있다.
이밖에도 CJ 김치공장 부산물과 동아 오츠카공장 슬러지, 경기도 자원화시설 음식물쓰레기, 경기도 하수종말처리장 슬러지, 대상그룹 계열사의 야채 및 과일부산물 처리와 서울 상계주공아파트 시범사업, 서울 동아아파트 시범사업, 현대아이파크삼송2차공구업체선정,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상 수상, 이노베이션 기업&브랜드 대상, 조달청공급계약체결 등의 여러 가지 실적들로 신뢰감을 쌓고 있으며 영화배우 송채환 씨가 하연의 홍보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하연 업소용 음식물처리기는 잔반기준 하루 약 70리터 소멸처리 할 수 있는 모델과 약180리터를 소멸처리 할 수 있는 모델들로 구매하여 사용도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렌탈사용도 가능하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