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김영철 이슈’ 올인… ‘보수결집→지방선거’ 구상

입력 2018-02-26 08:03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와 의원들, 한국당 지지자들이 25일 오전 경기도 파주 통일대교 위에서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일행의 방남을 반대하며 농성하고 있다. 일부 의원들은 전날부터 도로에 앉아 밤샘 시위를 했다. 파주=곽경근 선임기자

자유한국당이 ‘김영철 방남’ 이슈 키우기에 당 총동원령을 내렸다.

한국당은 25일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이동경로였던 경기도 파주 통일대교에서 밤샘 농성을 벌이며 도로를 차단했다. 김영철이 한국 땅을 밟게 하지 않겠다는 저지 시위였다.

한국당은 전날 소속 의원들과 수도권 당협위원장들에게 차량 동원령을 내렸다. 의원들은 차량 3대 이상을, 서울·경기·인천의 원외 당협위원장들은 차량 2대 이상을 25일 오전 9시까지 통일대교 방향에 동원하라고 지시했다. 김성태 원내대표와 지역구가 통일대교와 가까운 홍철호·안상수·문진국 의원 등 4명은 주력 지원 의원으로 선정돼 각각 차량 30대 이상을 동원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한국당은 이런 방식으로 차량 634대를 동원했다. 또 보좌진과 당원 등 3434명에 대한 인력 동원령도 내렸다.

홍준표 대표는 통일대교에서 한국당 의원들을 에워싸는 경찰을 향해 “북한 보위부(보위성) 직원들도 아니고, 대한민국 경찰 아니냐”고 비판했다.

한국당은 26일 서울 청계광장 집회에도 대규모 인력 동원을 지시했다. 수도권 의원들의 경우 300명 이상의 동원령을 하달하는 등 10만명 동원이 목표다.

한국당이 육탄 저지를 불사하는 것은 김영철 방남 논란을 확산시키는 것이 정치적으로 유리하다는 계산 때문이다. 한국당은 보수층 결집에 큰 기대감을 걸고 있다. 한 의원은 “천안함 폭침 주범의 방남을 허용한 문재인정부의 친북 스탠스에 불만을 느끼는 보수층이 한국당으로 모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여 투쟁으로 당내 분란을 잠재우는 부수 효과도 노린다. 홍 대표에 비판적이었던 이주영·나경원 의원과 김태흠 최고위원 등도 김영철 방남 저지에 가세했다. 그동안 ‘로키(low key)’ 행보를 했던 김무성 의원은 ‘김영철 방한 저지 투쟁위위원장’을 맡았다.

다른 의원은 “김 의원이 24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연설할 때 김 의원에게 적대적이었던 태극기 세력이 박수를 보냈다”고 전했다. 한국당은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 이후 6월 지방선거까지 정부의 대북정책 비판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윤해 이종선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