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김영철 방남, 과거 행적보다 실질적 대화에 집중”

입력 2018-02-23 11:31


통일부는 2010년 천안함 폭침의 배후로 알려진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의 방남 논란과 관련해 “천안함 폭침은 분명이 북한이 일으킨 것”이라면서도 “구체적으로 어떤 인물이나 기관이 공격을 주도했는지 특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천안함 폭침은 분명히 북한이 일으켰으며 김 부위원장이 당시 정찰총국장을 맡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그러나 구체적인 관련자를 특정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0년 5월 20일 민·군 합동조사단이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어뢰공격에 의한 것임을 분명히 밝혔을 때에도 북한 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인물, 어떤 기관이 공격을 주도했다는 점을 특정할 수는 없었다”고 부연했다.

백 대변인은 김 부위원장의 방남을 우려하는 여론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이번 결정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대승적 결정이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목적을 폐막 행사 참가라고 밝혔다는 점과 북한 대표단 방문을 통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 정착에 관한 대화와 협의 기회가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며 “김 부위원장이 북한에서 남북관계를 총괄하는 통일전선부장으로서 남북관계 개선과 비핵화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책임 있는 인물이란 점도 종합적으로 고려해 김 부위원장의 방남을 수용키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 대변인은 또 “정부는 상대가 누구이며 과거 행적이 어떤가에 집중하기보다 어려운 한반도 정세 하에서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실질적인 대화가 가능한 상대인지 여부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에게 천안함 폭침 사과를 요구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문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한다는 차원에서 이해해달라”며 즉답을 피했다. 이어 “북한 도발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도 중요하지만 이런 도발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한반도의 실질적 평화를 구축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