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올해 ‘열린 기술창업 도시 울산’ 건설을 목표로 투자 생태계 확충에 본격적으로 나서다고 21일 밝혔다.
울산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창업기업 수요기반 선순환 투자 생태계 확충, 창업지원 플랫폼의 다양화(지역인프라 연계 기술창업 강화), 열린 청년 창업 공간 확충 제공,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저변확대, Boom - up 등 4대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시는 조선업구조개선펀드와 울산청년창업펀드에 이어 올해 바이오·메디컬, 3D 프린팅 등 신성장 산업 분야 창업기업 육성ㆍ지원을 위한 펀드를 조성한다. 아울러 2020년까지 지역 수요에 맞는 규모로 창업지원 펀드를 꾸준히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장기적으로 지역 대학과 연계해 ‘연합기술지주회사 설립’도 추진한다. 대학, 연구기관 등의 원천 기술이나 특허 등을 실용화하는 역할을 한다. 기술지주회사는 2008년 제 1호 한양대 기술지주회사를 시작으로 전국에 60여 개의 단독 또는 연합기술지주회사가 운영 중이다.
시는 예비 창업자가 아이디어와 기술을 사업화하는 과정을 돕던 기존의 창업 지원방식에서 탈피, 지역의 우수한 기술 등을 직접 찾아 발굴하는 방식으로 지원한다.
시는 이와 함께 아이디어와 열정만으로 창업이 가능하도록 4차 산업과 바이오·메디컬 분야 창업기업 입주·육성을 위한 전용 ‘톡톡팩토리’ 공간을 마련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다양한 창업지원 플랫폼의 구축과 투자 생태계 확충을 통해 올해에는 수십개의 창업기업 발굴과 창업형 일자리 창출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창업도시로의 성장 위한 투자에 나선다
입력 2018-02-21 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