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뇌물로 추정되는 금액이 늘어나거나 확실해지고 있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이 재임시절 국정원 특수활동비 2억원을 추가로 받은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검찰조사에서 이 전 대통령의 지시로 삼성에 다스 소송비 대납을 요청했다고 진술했으며 소송비 지불 후 남은 10억 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학수 전 삼성그룹 부회장의 진술과 일맥상통한다는 점에서 뇌물 수수 혐의를 입증할 결정적 증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채널A는 검찰이 이 전 대통령이 집권 첫 해인 지난 2008년 김백준 당시 총무비서관을 불러 1만 원권 2만장, 총 2억원이 담긴 가방을 건넨 정황을 포착했다고 2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전 대통령은 당시 “박재환 정무수석에 전달하라”고 지시했고 이 돈 가방이 실제 박 전 수석에게 전달된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검찰은 김 전 비서관과 박 전 수석에게 “이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진술을 확보했다.
결국 검찰은 이 전 대통령 집권 당시 청와대가 받은 국정원 특활비를 17억5000만 원으로 추정했다. 검찰은 박 전 수석을 상대로 이 돈을 어디에 썼는지 집중 조사 중이다.
검찰은 또 김 전 청와대 총무기확관도 검찰 조사에서 이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삼성 측에 다스 소송비용 대납을 요구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KBS는 김 전 기획관이 검찰조사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이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삼성 측에 대납을 요구했으며 삼성은 에이킨검프에 내야할 40억 원을 2009년부터 3년 동안 쪼개서 보냈다고 진술했다고 2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전 대통령 측이 삼성 대납금 40억원 중 10억 원 정도를 요구한 정황이 포착됐다. 검찰은 이 돈이 30억원의 소송비용 지불 후 남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근거 없는 얘기”라며 모든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의 측근들은 검찰 조사에서 이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뇌물을 받았다고 입을 모으면서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이 뇌물 혐의를 입증할 물증들을 확보하자 뇌물로 추정되는 금액도 점차 늘어나는 모양새다. 때문에 이 전 대통령의 소환은 빠르면 3월 초에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