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스 수사] “다스, 조직적 비자금 조성… 200억 이상 새로 확인”

입력 2018-02-20 02:03
이명박 전 대통령의 숨은 재산을 관리해온 것으로 알려진 다스 협력업체 금강의 이영배 대표. 그는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에 따라 19일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받았다. 최현규 기자

이명박(MB) 전 대통령의 실소유 의혹을 받아온 자동차부품 업체 다스에 대한 검찰 수사 결과 회사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200억원이 넘는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수사의 시발점이 됐던 ‘다스 120억원 비자금’ 의혹은 경리직원 조모씨의 개인 횡령으로 결론내려졌다. 그러나 이 역시 회사 차원의 비자금 조성 과정에서 파생된 것으로 확인됐다. 다스가 조성한 비자금이 흘러간 종착지의 실체는 서울중앙지검에서 진행 중인 다스의 140억원 투자금 반환 사건 수사 결과와 함께 확인될 전망이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의 재산 관리인인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이 따로 숨겨둔 외장하드 등 ‘다스는 MB의 것’이라는 의혹을 규명할 핵심 퍼즐 조각을 확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 사건 수사팀(팀장 문찬석 차장검사)은 19일 “다스 자금 120억원 횡령과 별개로 다스 경영진 등이 조직적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수사팀은 당초 고소된 사안인 120억원 횡령 의혹에 대해서는 10년 전 특검과 마찬가지로 경리직원 조씨의 개인 범행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다스 경영진이 조직적으로 별도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포착했다.

검찰은 조씨가 회사 차원의 비자금 조성에 개입하면서 개인적 횡령을 저질렀다고 보고 있다. 수사팀은 김성우 전 다스 사장 등 경영진이 별도로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도 확인했다. 다스의 비자금이 크게 세 덩어리로 확인된 것이다. 비자금 규모는 조씨의 횡령액을 빼고도 200억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팀 관계자는 “자금 세탁 흐름을 따라가는 중인데 (비자금 액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동부지검에 따로 설치돼 있던 수사팀은 오는 22일부터 서울중앙지검 첨단수사1부로 일부가 합류해 비자금 관련 수사를 이어간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미 다스의 투자금 반환 소송에 청와대가 개입해 삼성이 소송비용을 대납한 정황 등을 포착하고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스와 다스 자회사를 통해 100억원대의 이 전 대통령 차명재산이 조성된 정황도 잡아 수사 중이다. 다스 횡령 사건과 다스 투자금 반환 사건으로 나뉘어 있던 두 갈래 수사가 수백억원대 조직적 비자금 사건으로 합류한 것이다.

앞으로 수사는 자금이 이 전 대통령에게 흘러들어갔는지를 규명하는 작업만 남았다. 검찰 관계자는 “이 사무국장 차에서 확보한 외장하드 등 다스 실소유 입증에 결정적인 증거를 다량 확보했다”면서 “실소유주가 있다면 그 개입 여부는 자연스레 규명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미 구속한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과 이 사무국장 외에 이영배 금강 대표에 대해서도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이 전 대통령의 자금 관리인 3인방을 집중 조사 중이다. 이 사무국장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자신이 차명재산을 관리해 왔으며 최근까지 이 전 대통령에게 재산 변동 내역을 보고했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민영 황인호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