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대책 업무를 담당했던 정기준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이 53세의 나이로 18일 별세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망 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온라인 곳곳에선 ‘과로사’라고 추정한 이들이 많았다.
국조실 등에 따르면 정 실장은 설 연휴 마지막 날인 18일 오전 6시40분쯤 서울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가족들이 정 실장을 발견했을 때는 이미 심정지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망 소식을 접한 국조실 직원들은 정 실장이 새로운 분야인데도 업무에 치밀한 고인의 성격강 스트레스가 많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고인은 지난해 9월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에 임명됐으며 범정부 가상화폐 대책을 조율하는 역할을 해왔다. 지난해 11월 말부터는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암호화폐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꾸려 주 1회 회의를 열었다. 여기서 정 실장은 부처간 의견 취합과 조율 등의 실무를 총괄했다.
지난해 12월 암호화폐 정부 대책 및 입장 유출 사건과 국조실에 파견된 금융감독원 직원의 암호화폐 거래 사건 등이 겹치면서 정 실장의 업무 스트레스는 컸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5일에는 정실장이 직접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상통화에 대한 정부 입장’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정 실장은 한 달 동안 48시간 야근을 하는 등 강행군을 마다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져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서울수서경찰서는 정 실장의 정확한 사망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곳곳에선 “과로사에 따른 산업재해”라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32회로 공직에 입문한 정 실장은 과학기술부를 거쳐 기획재정부에서 국토해양예산과장, 재정정책과장 등을 역임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장례식장 8호실)에 마련됐고 발인은 20일이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