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해병대 ‘수륙기동단’ 3000명으로 50% 증강

입력 2018-02-17 16:01 수정 2018-02-17 16:19
일본 자위대의 행진 모습. AP뉴시스


일본 정부는 다음달 출범하는 육상자위대의 해병대 전력 '수륙기동단'의 규모를 애초 계획보다 50% 증원한 30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요미우리 신문이 17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와 난세이(南西) 제도의 방위를 강화하고자 수륙기동단 규모를 이같이 증강하기로 방침을 굳혔다.

방위성은 전날 자민당 안전보장조사회에서 2개 연대 2100명으로 3월27일 발족하는 수륙기동단을 오는 2021년도부터 3개 연대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다음달 창설되는 수륙기동단 2개 연대는 나가사키현 사세보(佐世保)시 소재 아이노우라(相浦) 주둔지에 배치된다.

수륙기동단 1개 연대 증설은 연말 개정하는 중기방위력 정비계획(중기방 2019년~23년도)에 명기하게 된다.

이로써 수륙기동단 병력은 3개 연대 약 3000명 규모로 증가한다.

수륙기동단은 센카쿠 열도와 난세이 제도 등 낙도가 유사시 적군에 탈취당했을 때 이를 되찾기 위해 전문적으로 투입하는 전력이다.

상륙작전을 담당하는 부대와 수륙양용차를 운용하는 부대 외에도 정찰과 통신, 시설, 후방지원, 교육 등 역할을 맡는 단위로 편성한다.

이와 관련해 아사히 신문은 작년 10월 수륙기동단이 2020년에 오키나와현 미군기지에 이동 배치한다고 전했다.

신문은 주일미군 기지 재편 계획에 따라 오키나와 주둔 미국 해병대가 괌으로 옮기기 때문에 2020년 전반기에 오키나와 캠프 한센에 수륙기동단을 주둔시키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오키나와는 센카쿠 열도에 인접한 점에서 수륙기동단을 배치하는 것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또한 규슈 남단 난세이 제도에서 돌발사태 발생시 조속히 대응하려는 속셈도 있다고 한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