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지원금 800만 달러 이달 집행한다…미국 설득할 것

입력 2018-02-12 16:12

통일부가 대북 인도적 지원 800만 달러(약 86억7000만원)를 이달 안에 집행키로 했다.

문화일보는 통일부 관계자의 말을 빌려 12일 정부가 예정돼 있던 대북 인도적 지원 800만 달러를 이달 안에 집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관계자는 “국제기구와의 협의가 끝난 사안인 만큼 해당 기구와의 신뢰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이후 남북대화를 계속해서 이어나가려는 후속 조치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고, 대화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인도적 대북지원에 있어 가장 핵심으로 꼽히는 미국 정부 설득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은 10일 방한해 대북 압박정책을 지속하는 조건 하에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남북 대화를 지지하고 미국도 북한과 전제조건 없는 대화에 나서겠단 뜻을 밝힌 바 있다.

11일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펜스 부통령은 사흘간의 한국 방문 일정을 종료하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전용기 안에서 문 대통령과의 두 차례 실질적인 대화를 통해 한미가 북한과의 추가적인 외교적 관여를 위한 조건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국이 대북 포용에 나서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 역시 북한과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펜스 부통령은 미국과 동맹국들이 북한 김정은 정권이 핵무기 포기를 위한 명백한 단계로 나아가지 않는 한 대북 압박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전제를 뒀다.

문 대통령은 북한 측에도 미국과 대화를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펜스 부통령에게 전하며 북미간의 대화가 이루어질 것을 간접적으로 촉구했다.

통일부는 지난해 9월 유니세프, 세계식량계획(WFP)의 북한 모자보건·영양지원사업에 대한 남북협력기금 지원안을 의결했지만,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로 집행을 늦춰 왔다. 이번 인도적 지원을 시작으로 이산가족 상봉, 비정치적 민간교류 확대 등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지 않는 남북관계 개선 조치를 함께 추진할 전망이다.

송태화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