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검거하느라 애를 먹은 특수절도범 A(27)씨에게서 최근 편지 한 통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편지에는 그동안 저지른 범행을 반성하고 있다는 ‘후회’와 죗값을 치른 뒤 평범하게 살겠다는 ‘다짐’이 담겨있었다.
A씨는 2013년 처음 경찰 수사대상에 올랐다. 그해 7월부터 택배배달기사로 근무하다 9월, 배송물품 가운데 휴대전화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는 이를 훔쳐 달아났다. 시가 9000여만원에 이르는 휴대전화 112대를 4000여만원에 팔아넘겼다. 그게 시작이었다.
한동안은 휴대폰을 판 범죄 수익금으로 살다가 돈이 떨어지자 2014년 초 전남 광양에 있는 커피숍과 빨래방에 들어가 현금 5만원을 빼내 달아났다. 이후 ‘상가털이 절도범’으로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전국각지를 돌며 절도를 일삼았다. 보안이 허술한 식당, 커피숍, 인형뽑기방 등 비교적 침입이 쉬운 곳에 들어가 돈을 훔쳤다. 다닌 곳만 해도 전국 75개 시·군·구, 절도질은 234차례, 훔친 돈은 약 2억원이다.
하지만 4년이 넘도록 붙잡히지 않았다. 전국 50여개 경찰서가 A씨 추적 전담팀을 꾸렸지만 헛수고였다.
그는 범죄를 저지르면서 신원을 숨기려 마스크를 끼지도 않았고, 지문도 남기기까지 하며 허술한 모습을 보였다. 때문에 경찰도 이미 그의 신원을 파악하고 수배령까지 내렸다.
그러나 그 이상 진척이 없었다. 누군지는 알아냈지만 어디에 있는지는 알 길이 없었다. 그는 휴대전화를 쓰지 않았고 자가 차량도 없었다. 가족이나 친구와도 연락을 끊은 채 살았다.
경북경찰청 광역수사대는 독기를 품고 지난해 10월 본격 수사에 뛰어들었다. A씨 동선을 분석한 결과 항상 금품을 훔친 뒤에는 50㎞ 이상 먼 곳으로 달아난 것을 확인했고 한동안 A씨 뒤를 쫓아 잠복해 수사를 해왔다.
그러다 경찰은 지난달 28일 대구 혁신도시에서 A씨가 금품을 훔친 사실을 확인했다. 어디로 도주할지 예측해보니 김천, 포항, 부산, 경남 진주가 유력했다. A씨가 주로 혁신도시나 신도시에서 범행을 저질렀다. 광수대는 4곳에 각각 형사 2명씩 파견해 잠복근무를 하게 했다.
그러던 중 같은 달 30일 오전 2시 진주 혁신도시 한 인형뽑기방에서 금품을 털려다가 실패하고 나오는 A씨를 발견했다. 형사들은 A씨를 보자마자 단박에 알아챘다. 그동안 인상착의나 걸음걸이를 집요하게 분석해왔기 때문이다. 경찰은 최근 특수절도 혐의로 A씨를 구속한 뒤 검찰에 넘겼다.
이렇게 긴 시간을 경찰과 줄다리기 해 온 A씨는 구치소에서 그동안 심정을 담은 편지를 보냈다. 그는 편지에 “체포되기 전까지는 두려움이 많았지만 죗값을 치르고 돌아갈 집이 있다는 사실에 기쁘기도 하지만 피해 받은 분들께는 죄송하다”고 썼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