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지사 경선에 나선 양기대, ‘정책 대결하자’며 첫 번째 내놓은 정책은?

입력 2018-02-12 15:03

일찌감치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 경선에 뛰어든 양기대 광명시장이 ‘정책으로 대결하자’며 신호탄으로 ‘청년일자리 지원정책’을 내놓았다.


양기대 시장은 12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정책선거 제안 성명서’를 발표하며 “도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비전과 정책으로 경쟁하는 선거가 되어야 한다”면서 “양기대가 먼저 선도적으로 이를 실천하겠다”밝혔다.

양 시장은 정책선거의 첫 번째로 ‘청년일자리 지원정책’을 제안했다.

그는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는 청년 본인뿐만 아닌 가족 모두의 걱정거리다. 경기도의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10.5%로 전국 평균(9.9%)을 웃돌고 있다”며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양 시장은 “취업 준비만으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청년들이 교육비와 생활비를 버느라 취업 준비가 더욱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청년들의 취업 및 창업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매년 1500억원 이상, 4년간 총 6000억원의 규모의 ‘청년도전기금’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청년들이 취업과 창업을 위해 필요로 하는 교육비와 창업자금 지원, 그리고 그 과정에서 최소한의 생활비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양 시장은 ‘청년일자리 지원정책’을 첫 번째 정책으로 내놓은 배경에 대해 “북핵문제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면 그 다음은 청년 일자리 문제다. 정치권과 중앙·지방정부가 일자리를 강조하면서도 청년 실업율은 높아지고 있다. 남경필 지사가 일자리 도지사를 주창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남 지사의 청년 시리즈는 기존 중소기업 취업 청년들 위주로 한정돼 있다”고 비판하면서 “새로 취업을 하고, 창업을 하는 청년들이 가장 절박하다. 이들에 대한 지원이 본인은 물론 가족, 경기도 전체에 온기가 돌며 선순환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광명에서도 이런 일들을 해봤기 때문에 할 수 있다”며 정책 추진에 대한 자신감을 보였다.

양 시장은 ‘청년도전기금’ 조성과 관련해 말은 기금이지만 경기도 예산을 사용하려 한다”면서 남경필 지사가 청년정책에 한 해 1700억원 정도 예산을 반영하고 있는데 계승할 것은 계승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과감하게 통폐합하고, 세수 증가분·불요불급한 예산은 절감하겠다”고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양 시장은 이와 별도로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공동 주거에 대한 구상도 내비쳤다.

그는 “역세권에 공공주차장을 활용한다던지 구도심 상가를 리모델링해 청년도전기금에 지원하는 청년들이 원할 경우 공동주택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겠다”며 “각 시·군별로 청년들이 와서 취업창업에 관한 정보도 공유하는 청년도전 카페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양 시장은 지금 시점에서 이 시대의 가장 절박한 문제인 청년 일자리 정책만 발표하고 현안인 교통 정책, 수도권 규제완화 문제, 고교무상급식 교복 지원 문제를 경기도로 확산하는 문제 보육 등은 나중에 발표하겠다”고 말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구체적인 정책을 제안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