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곡동 땅 주인도 MB’로 결론나나… 檢 증거 축적

입력 2018-02-08 07:30

확인땐 다스 불법 책임 가능성
2008년 특검 “다스-MB 무관”
10년 만에 재개된 수사서
김성우 前 사장 진술 번복
MB 향한 증인·증거 속속 등장

검찰이 이명박 전 대통령 재산 관련 의혹의 시발점인 ‘도곡동 땅’ 원주인이 이 전 대통령임을 보여주는 증거들을 축적해가고 있다. 도곡동 땅 문제는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의 실소유주 의혹과도 연결돼 있다. BBK 특별검사팀 수사 때는 이 전 대통령 차명재산 의혹이 근거 없는 것으로 종결됐지만 10년 만에 뒤집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도곡동 땅과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전 대통령인 것으로 확인되면 다스를 중심으로 벌어진 횡령과 탈세 등 불법행위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길이 열린다.

2007년 도곡동 땅 의혹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이상은(현 다스 회장)의 땅 지분은 제3자의 차명재산”이라고 밝혔다. 땅 주인이 따로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누구인지는 밝혀내지 못했다는 게 당시 설명이었다. 2008년 이를 재수사한 BBK 특검은 이 전 대통령 취임 나흘 전 내놓은 수사결과에서 “도곡동 땅은 당선인 소유가 아니다”고 결론 냈다.

도곡동 땅 의혹은 이 전 대통령의 맏형인 이 회장과 처남 김재정씨가 1985년 서울 강남구 도곡동 땅 4240㎡를 15억6000만원에 사들이면서 시작된다. 두 사람은 이 땅을 10년 뒤인 95년 포스코개발에 263억원을 받고 팔았다. 이 전 대통령은 땅 매입 때는 현대건설 사장, 매각 때는 초선 국회의원이었다. 도곡동 땅 매각대금 중 7억9200만원은 95년 8월 다스의 유상증자 대금으로 흘러들어갔다.

이 전 대통령이 이 회장 등을 내세워 도곡동 땅을 차명 소유했으며, 매각대금도 차명으로 관리했다는 게 당시 의혹의 골자였다.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주식 100%를 이 회장과 김씨, 친구인 김창대씨 명의로 갖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돼 17대 대선의 가장 치열한 논란거리가 됐다.

당시 특검팀은 이 회장과 김씨, 이 전 대통령의 자금관리인 이병모씨, 도곡동 땅 중개인, 포스코개발 관계자 등을 조사했다. 특검은 김씨가 땅 매입을 주도했고 매입자금 역시 김씨와 이 회장이 공동 부담한 것으로 판단했다. 다스 역시 이 회장이 고 정세영 현대자동차 회장 도움으로 일본 후지기공과 기술제휴 계약을 체결한 뒤 87년 경북 경주에 부지를 확보해 세웠으며, 설립 자본금 6억원은 김씨와 후지기공이 댔다고 발표했다. 도곡동 땅이나 다스 모두 이 전 대통령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게 특검의 결론이었다.

그런데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부장검사 신봉수)가 다스의 BBK 투자금 140억원 회수 관련 고발사건 수사를 진행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검찰은 이명박정부 청와대와 외교부 등이 다스 문제에 적극 개입한 것으로 보고, 왜 정부 조직이 움직였는지 연원을 역추적했다.

10년 만에 재개된 수사에서 이 전 대통령과 등을 돌리는 ‘내부자’들이 속속 등장했다. 다스 창립 멤버였던 김성우 전 다스 사장은 검찰에 자진 출석해 10년 전 진술은 허위였으며,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설립·운영에 깊숙이 관여했다고 진술했다. 자금관리인 이씨 등에 대한 조사에서 도곡동 땅 매각자금 상당 부분이 이 전 대통령 측에 흘러간 정황도 포착됐다.

검찰은 최근 청계재단이 소유한 서울 영포빌딩 지하창고에서 다스와 MB청와대 간 관계를 드러내는 문건들을 대거 찾아냈다. 검찰 관계자는 “상당히 많은 내용이 파악된 상태”라며 “확정적이진 않지만 다스나 도곡동 땅 주인의 실체가 드러나는 중”이라고 말했다.

지호일 신훈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