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은 연간 70만명 이상 병원을 찾는 대표적 어깨질환이다. 회전근개파열은 시간이 지날 수 록 파열된 힘줄이 주변 지방조직으로 변성되거나 괴사되기 때문에 수술이 필수이다. 그러나 오십견의 경우 어깨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에 염증이 생긴 것이기 때문에 통증은 심하지만 대체로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가능하다.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가능하다고 알려진 오십견, 그러나 매년 15% 내외 환자들이 수술을 시행하며 평균 입원기간만 6일에 달한다. 또한 환자들은 수 많은 치료방법 중 무엇이 옳고, 치료효과가 확실한지 의문이 든다고 토로한다.
세계적 권위 관절학회 및 SCI저널 AAC, AAOS, ISAKOS 등에 연구활동으로 분야 권위자로 꼽히는 연세건우병원 어깨수술팀 하승주 원장은 “교과서 적으로 오십견은 관절낭 유착 정도에 따라 그 단계가 경도-중등도-중증으로 나뉜다. 때문에 선별적 치료 여부가 치료 결과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현행치료 대부분은 체외충격파, 약물주사 혹은 침이나 뜸같은 대체의학적 치료로 상태가 고려되지 않은 일률적 치료만으로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쉽게 ‘맹장이 터지면 복통이 발생한다. 그러면 수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치료는 복통의 원인보다, 복통이니까 소화제를 처방하는 것과 같다. 이렇게 되면 복막염으로 이어져 생명이 위급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선별치료 여부가 중요한 까닭이다”고 전했다.
연세건우병원 하승주 원장 연구팀은 오십견의 선별치료를 위해 초고해상도 초음파와 어깨가동성검사를 기준으로 한 타겟팅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타겟팅 치료는 진단과 치료가 세부적으로 나뉘어져 있는 이원 표적치료이다.
하 원장은 “환자의 Pain Score와 운동기능/범위와 고해상도 초음파를 통한 염증정도 종합하여 Mild-Moderate-Severe 3등급으로 나누어 세부진단을 시행한다. 이후 다시 초음파 장비를 통해 염증으로 인해 변성된 부위에 타겟점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Micro-Needle로 환자의 등급에 따라 염증의 국소부위에 정확히 삽입하여 병소에 오차 없이 치료효과를 전달한다. 때문에 치료 후 염증 감소 반응이 거의 100퍼센트에 가깝다”며, “이렇게 염증을 완벽히 치료한 뒤엔 등급에 맞는 체계적 재활을 시행한다. 재활은 저온치료와 고강도레이저를 통한 세포재생치료를 시행하며 충격파가 넓게 퍼지는 기존 방사형 충격파가 아닌 병변 부위 집중조사가 가능한 초점형 충격파를 통해 혈류개선까지 함께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 2014~2017년까지 연세건우병원 선별치료 환자 후향적 임상연구 결과 2개월에서 6개월 이상 장기치료를 요했던 중증이라도 1달 내 치료가 가능했고, 성공률 역시 치료 후 사고/부상의 외상환자를 포함해도 평균 97.1%에 달하는 높은 치료 성공율을 보였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