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교에서 페미니즘 교육을 의무화해달라는 국민 청원이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청와대 답변 요건(30일 이내 20만명 이상)을 마지막에 극적으로 채웠다. 최근 서지현 검사가 안태근 전 검사장의 성추행 의혹을 폭로한 이후 한국에서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이 확산되면서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6일 한 청원자는 ‘초·중·고 학교 페미니즘 교육 의무화’라는 글을 통해 “아직 판단이 무분별한 어린 학생들이 학교에서 여성비하적 요소가 들어있는 단어들을 아무렇지않게 장난을 치며 사용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튜브나 페이스북에서 이미 자극적인 단어들을 중고생 뿐 아니라 초등학생도 쉽게 쓴다”며 “아이들이 양성평등을 제대로 알고 페미니즘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이 청원은 5일 오후까지만 해도 참여자가 15만명선에 그쳤지만 막판에 참여자들이 몰리면서 21만명을 돌파했다. 청와대도 공식답변 준비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학교현장에서는 여성혐오 발언들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유치원 및 초·중·고 교사 636명을 조사해 지난해 7월 발표한 결과를 보면 교사 10명 중 6명이 ‘김치녀’ 등의 여성혐오 표현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했다고 답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