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와 언론이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잇따라 ‘찬물’을 뿌리고 있다. 북핵 긴장 상황을 부각시켜 한국을 ‘안전하지 못한 곳’으로 선전하고, ‘강력범죄가 많은 나라’라면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평창의 추운 날씨와 한국의 조류인플루엔자 발생도 위험 요소로 꼽았다.
일본 외무성은 1일부터 해외안전 홈페이지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대회 개최에 따른 주의 환기'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놨다. 이 글에서 “북한 문제로 한반도 정세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긴급 상황 시 대사관 등에서 연락을 받을 수 있도록 외무성의 여행등록 서비스에 등록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한국의 치안은 비교적 안정된 상태지만 살인 사건은 일본의 2.5배, 강도는 1.2배 더 많이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조류인플레엔자 발생과 평창의 추위도 거론하며 주의를 촉구했다. 한국이 위험하다는 정보를 내보내 불안감을 조장하는 모습이다.
일본 외무성은 지난해 4월에도 “북한이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를 반복하고 있으므로 한반도 관련 정보에 계속 주의해 달라”는 글을 올렸고, 이후 일본 학교들이 잇따라 한국 수학여행을 취소했다.
일본 극우매체 산케이신문은 2일 평창올림픽의 ‘문제점’을 한껏 부각시킨 기사를 내보냈다. 산케이는 자원봉사자 이탈이 속출한다고 했다. 지난해 11월 1만8000명에 달했던 자원봉사자 가운데 1월 31일 현재 숙소 등 여러 문제로 2194명이 그만뒀다는 것이다. 이어 티켓 판매율 역시 1월 29일 현재 74.1%로 목표인 80%에 육박하지만 실제로는 정부 요청을 받은 자치단체나 대기업이 대량 구입한 덕이라고 주장했다.
장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