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1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한 뒤 “문재인 정권의 등짝을 강하게 후려쳤다”고 자평했다. 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이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사과부터 해야 한다”고 비판한 것과 대조적이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예결위회의장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제발 정신을 좀 똑바로 차리라는 의미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도 문재인정부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 한·미동맹과 손을 잡기보다 일시적인 북한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김정은의 손을 잡았다”며 “대한민국은 올림픽 이후가 더 크게 걱정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문재인정부의 적폐청산을 ‘정치보복’으로 규정하며 비판을 이어갔다. 그는 “올림픽이 며칠 남지 않은 이날까지 모든 언론에 정치보복이 주를 이루고 있다”며 “사회적 대타협을 이루자는 문재인 정권의 말은 허언으로밖에 들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말로는 설명이 안 되는 희한한 정권이 평창올림픽을 주관하고 있다”며 “정말 DNA부터 글러먹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도 말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 등 여야 4당의 평가는 정반대였다. 김 원내대표의 대표연설에 대해 “궤변” “근거 없는 의혹제기” “국민을 절망에 빠뜨린 장본인” 등 혹평이 쏟아졌다.
제윤경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김 원내대표의 연설을 “자기반성도 없고 제1야당의 품격도 없는 남탓 연설”로 평가절하했다. 그는 “비전 없이 정부에 대한 근거 없는 의혹만 제기했다”며 “선거연령과 관련해서는 꼼수가 숨겨진 제안까지 했다”고 지적했다.
이명박·박근혜정부 당시 여당이었던 한국당의 반성도 촉구했다. 그는 “지난 이명박·박근혜 정부 9년간의 실정 모두를 새 정부에게 전가하는 모습에서 참담함을 느꼈다”며 “제천과 밀양 화재 참사라는 국민적 슬픔을 문재인정부의 정책참사로 규정한 것 또한 후안무치하다. 무분별한 규제 완화로 안전사고를 유발한 지난 정부에는 왜 분노하지 않았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문재인정부의 적폐청산을 정치보복으로 규정한 데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제 원내대변인은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권력자들에 대한 법적 처분을 ‘대중 독재’라고 하는 것은 궤변을 넘어 국민을 모독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야당들도 비판에 동참했다. 김수민 국민의당 원내대변인은 “국정농단으로 국민을 절망에 빠뜨린 장본인들이 정부여당 비판만 했다”며 “국민이 동의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처절한 반성과 함께 사과부터 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며 “언행 불일치 정당을 신뢰할 국민은 없고, 신뢰를 잃은 정당에 미래가 없다”고 꼬집었다.
유의동 바른정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트레이드와 같던 투박한 말은 꼭꼭 숨겼는지 모르지만 연설 전반에 흐르는 한국당의 무책임은 숨지기 못했다”며 “국민의 마음을 담은 노력과 진심은 오늘 연설 어디에서도 읽히지 않는다”고 혹평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남 탓에 급급한 모습이었다”며 “국회 의석을 과도하게 차지하며 민의를 왜곡하고 국정농단까지 벌인 것이 한국당”이라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반성하는 마음을 담아 선거제도 개혁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