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 “원유공급 중단, 북한은 선전포고로 받아들일 것”

입력 2018-01-31 23:20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 겸 국무위원장이 2017년 12월 11일 평양에서 열린 제8차 군수공업대회에 참석했다고 12일 조선중앙TV가 보도하고 있다.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가 석유제품 공급 중단을 골자로 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관련해 “북한이 선전포고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는 31일(현지시간) 자국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심각한 연료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만큼 원유공급 중단에 대해 전쟁 선포로 해석해 인도주의 문제를 비롯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마지막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에 따라 허용된 쿼터에 따르면 북한으로 중국 송유관을 통해 연 약 54만t의 원유를 공급할 수 있으며 러시아와 중국, 다른 나라들로부터 6만t을 약간 상회하는 석유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면서 “25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나라에 6만t은 한 방울에 불과하며 더는 낮출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마체고라 대사는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과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2019년 말까지 북한 노동자 전원을 본국으로 돌려보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는 “북한 노동자 송환 조치는 북한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면서 “북한 노동자들은 러시아에서 국가뿐 아니라 가족을 위해서도 일하고 돈을 벌어왔다. 평균적으로 노동자 1명이 러시아에서 버는 돈으로 친척 10명 이상을 부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지난해 12월 22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장거리 미사일 화성-15형 발사에 대한 응징으로 해외의 북한 노동자들을 2019년 말까지 송환시키도록 규정한 대북 제재 결의 2397호를 채택했다. 러시아에선 현재 전국에 약 3만7000명의 북한 노동자가 건설ㆍ벌목ㆍ농업 등의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