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전처리시설 지방선거 쟁점 부상할듯 “인천시의 해명자료 살펴보니”

입력 2018-01-31 17:20
인천시가 이재현 전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의 발언에 대해 이례적으로 해명에 나섰다.

시는 31일 해명자료를 통해 “공사 전 사장이 언급한 전처리시설 설치 등에 대한 사항은 4자 합의에 따라 추진된 사항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시는 같은 해명자료에서 “전처리시설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과거 2006년 폐기물종합자원화단지를 조성하고자 할 때부터 공사 자체적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사업”이라며 “수도권매립지 정책개선을 위한 4자 협의체 합의는 2015년 6월28일 이뤄졌으며, 합의서에는 수도권폐기물의 안정적‧효율적 처리를 위한 이행사항으로 ‘친환경 매립방식을 도입하는 것으로 명시돼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4자 협의체 최종합의서 중 수도권폐기물의 안정적‧효율적 처리를 위한 이행사항 부분은 수도권매립지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금지하고, 건설‧사업장폐기물의 매립을 줄이는 노력을 적극 추진하는 등 친환경 매립방식을 도입한다고 적시돼 있다.

시는 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전처리시설 설치 등은 과거 2006년 폐기물종합자원화단지(현 폐자원에너지타운)를 조성하고자 할 때부터 생활 및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에너지 연료화 계획을 공사 자체적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사업”이라며 “4자 협의체 합의서에 따라 전처리시설 설치 등을 추진해 왔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고, 인천시는 전처리시설의 수도권 부지 내 설치에 대해 반대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전처리시설에 대한 논란은 선거국면에서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현 전 사장은 인천 서구청장 후보에 출마해 “수도권 매립지의 소유는 인천시가 하되, 관리는 현재의 공사가 담당하는 방식이 합리적”이라고 밝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 위원장인 박남춘국회의원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4자 협의를 다시해야 한다”며 “더불어민주당의 서울시장 및 경기도지사 후보의 입장이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는 없으나 3월 중에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겠다”고 언급했다.

박 의원은 2월초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위원장을 사퇴하고 인천시장 당내 경선에 참여할 예정이다. 그는 “인천 행정의 3분의1이 해양분야”라며 “구여권 성향의 중구와 옹진군, 강화군의 주민들도 당선가능성을 보고 지지의사를 표명하고 있는만큼 인천 출신 토박이론으로 승부를 걸겠다”고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