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문을 일으킨 직원을 피해자 인근 지역의 현장 최고관리직으로 발령한 서울교통공사가 논란이 잇따르자 결국 다른 지역으로 발령조치 했다.
29일 열린 서울교통공사 이사회에서 성희롱 파문을 일으킨 직원을 서비스안전센터장으로 발령한데에 대해 사외·노동이사들의 지적이 쏟아지자 김태호 교통공사 사장은 “이사회가 끝난 뒤 인사조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는 성희롱 피해자와 가해자간 업무공간 분리에 대해 인권 및 양성평등, 법률전문가 등으로부터 ‘동일공간은 트여진 공간에서 함께 근무하는 곳으로 인접역은 동일공간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이번 인사발령을 했다고 밝혔다.
서울지하철노동조합 역무지부는 29일 오전 11시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수년 전 피해 여성노동자에게 한밤중 전화를 걸어 입에 담지 못할 성적 욕설로 물의를 일으킨 장본인이 피해자의 근무지 바로 인접역에 발령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이와 같은 비난이 일자 “7년이나 지났다”며 “그때 공사는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최고의 징계를 내리고 인사발령을 통해 보직배제 등 인사적 불이익을 주기도 했다”고 말하며 성평등 인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당시 가해자 징계는 직장 내 성희롱 대책과 관련해 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감봉에 그쳤었다.
특히 가해자가 맡았던 보직인 ‘서비스안전센터장’은 관내 역 직원이 아닌 타 역 직원들을 상대로 승진에 중요한 교차 평가를 할 수 있는 제도가 있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피해 여성에게 인사상 불이익을 줄 수 있었다.
성희롱 가해 직원은 부하 여직원들을 여성의 성기를 뜻하는 비속어 ‘XX대빵’이라 부르며 지속적으로 희롱해 왔던 것으로 알렸다.
한편 서지현 검사의 검찰 내부에 만연한 성추행 및 성차별 실태 폭로 이후 더불어민주당 여성 국회의원들이 미투(Me too, 나도 당했다)캠페인을 지지한다는 기자회견을 하는 등 ‘미투 캠페인’이 이어지고 있다. 미투 캠페인은 여성들이 자신이 겪은 성 범죄를 온라인상에서 폭로하는 운동으로 지난해부터 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운동이다.
송태화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