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병원 내분비내과 김성훈(사진) 교수팀은 주산기센터에 내원한 임신부(2003~2010년) 가운데 임신 전 제2형 당뇨를 앓던 100명의 임신부(실험군)와 일반 임신부(대조군) 100명의 임신결과를 추적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조사 결과 임신중독증 발병률은 실험군이 10%로 대조군 2%에 비해 5배 높았다. 제왕절개 확률은 실험군 35%, 대조군 18%로 2배 가까이 높았고, 거대아 출생확률(22% vs 9%), 임신 중 감염률(26% vs 2%) 또한 높게 조사됐다.
김 교수는 “당뇨 여성이 임신 전 혈당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을 경우 선천성 기형 및 자연유산 위험이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도 보고되고 있다”며 “당뇨를 앓고 있는 여성은 계획임신 하에 임신 전부터 혈당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뇨 여성의 임신 전 관리는 적어도 임신 6개월 전부터 시작되어야 하고 1년 전부터 준비해야 한다. 임신 계획에 대하여 미리 의사와 상의하고 임신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절한 방법으로 피임을 유지해야 한다. 임신 전부터 혈당을 가능한 한 정상에 가깝게 유지해야 하며 임신 전부터 매일 엽산을 5㎎ 이상 복용하는 것이 좋다.
연구결과는 영문판 대한내과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온라인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