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장관 “휴양지 대마초 허용하자”더니 역풍 맞고 진화나서

입력 2018-01-29 15:57
게티이미지뱅크

멕시코 관광부 장관이 “유명휴양지에서만이라도 마리화나(대마초)를 합법화하자”고 제안했다가 SNS를 중심으로 역풍이 불자 한걸음 물러났다.

26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엔리케 데 라 마드리드 코르데로 관광부 장관은 전날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행사에서 “마약 범죄를 줄이기 위해 유명 휴양지에서 마리화나를 합법화하자”고 제안했다. 그래야 불안을 떨치고 안전한 멕시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대마초 소비뿐 아니라 생산과 판매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그래야 안전한 관광지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멕시코에선 지난해 살인사건 2만5339건이 발생해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멕시코가 올린 관광 성적은 나쁘지 않았다. 데라마드 장관도 이를 인지하고 “이런 상황에서 대마초를 합법화하면 훨씬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 일부 주에서 합법화 한 사례를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동북부 버몬트주는 지난 22일 미국 내에서 9번째로 기호용 마리화나를 합법화한 바 있다.

마리화나 합법화 지역으로 거론한 유명휴양지는 두 곳이다. 미국과 유럽 관광객이 많이 찾는 바하 칼리포르니아 수르주와 칸쿤이 위치한 킨타나로오주다. 특히 바하 칼리포르니아 주 살인율은 인구 10만 명당 69명으로 멕시코에서 두 번째로 높은 곳이다.

후폭풍이 거세자 마드리드 장관은 해명에 나섰다. 자신의 트위터에 “마리화나를 합법화하자는 것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라고 적은 것이다.

한편 엔리케 페냐 니에토 대통령은 2016년에 마리화나 최대 1온스(28.4g)소지를 합법화하는 법안을 발의하기는 했으나 아직 계류 중이다. 지난해 6월에는 의학·과학적 목적에 한해 마리화나를 합법화한 바 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