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에 무인드론 업체가 30여곳에 달하지만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시험비행공간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인천시의회와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에 따르면 대북 접경도시인 지역 특성상 해안가의 군부대들이 밀집해 있어 드론 시험비행공간 확보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영종도의 경우 인천국제공항 관제권으로 드론 허가가 불가능하고, 강화도 교동도는 비행금지구역이어서 시험비행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사람이 많은 곳에서 드론을 시험비행하는 불법이어서 인천대공원 등 넓은 지역에서도 시험비행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테크노파크 관제센터는 지난해 1억4000만원을 투입해 시 어업지도선 1척에 드론을 배치해 일반해역의 불법 조업 상황을 보조했으며, 서구 원당택지개발지구 및 재개발 지역 등 비산먼지 신고사업장에 드론을 배치해 단속실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됐다.
관제센터는 또 시 도시경관과와 대변인실의 홍보영상 등을 위해 드론을 배치해 활용하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청라국제도시 로봇랜드 권역을 검토했으나 군부대가 이견을 제시했다”며 “남동산업단지 내 상공회의소 인재개발원을 활용해 실내테스트장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인천 드론 시험비행공간 없어 대책 필요
입력 2018-01-29 1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