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다시 한번 비판했다. 이번에는 북측 선수단, 응원단, 예술단 등의 체류비용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정태옥 대변인은 28일 논평을 통해 “평창올림픽에 선수단 20여명과 예술단, 응원단, 태권도 시범단이라는 이름으로 북한 체제선전요원 700여명이 내려온다”며 “6·25 때 인민군이 내려 온 이후 북한 사람이 가장 많이 내려올 모양”이라고 비꼬았다.
이어 “그 수많은 인원이 먹고 자고 이동하고 공연하는 데 엄청난 돈이 드는데, 그 돈을 어디서 무슨 명목으로 지급할지 아무도 모른다”며 “또 금강산 전야제를 하면 10여 년간 폐허로 방치됐던 시설을 개보수하고 야외무대 만드는데 적어도 수십억이 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대변인은 문재인정부를 ‘김정은에게 한량없이 인자하고 관대한 정부’라고 표현하며 “(정부가) 아름다운 명분을 만들어 지급할 것이며 그저 황공해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 모든 돈이 남북협력기금이든,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돈이든, 지자체 돈이든 결국은 대한민국 국민이 땀 흘려 낸 세금인 것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부는 북에 약속하기 전에 국민에게 어떤 행사에 무슨 돈을 얼마나 집행할 것인지 사전에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어떤 경우에도 유엔 결의를 위반한 현금 지급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에 아무리 잘 보이고 싶어도 행사비용과 접대비용은 검약하고 대한민국의 보통시민 수준을 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단호히 말했다.
한편 정 대변인은 글 첫머리에서 지난 21일 현송월 북한 삼지연관현악단장이 이끄는 사전점검단의 1박 2일 남한 방문을 ‘황제 여행’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KTX 사용료, 호텔 숙박비 등 체류 비용에 대해 “누가 부담할지 아무도 모르는 외상”이라고 했다. 그러나 통일부는 “남북협력기금에서 부담한다”는 내용을 22일 밝힌 바 있다.
문지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