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산소공장 냉각탑 내장재를 교체하다 질소가스에 질식해 4명이 숨졌다. 작업 시작 8분 만에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해가스인 질소가 냉각탑 상단으로 들어가 상부·중부·하부에서 일하던 근로자가 차례로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현장 확인 결과 사고현장은 ‘질식 재해 발생 위험’이 높아 각별한 안전규정 준수가 필요한 곳이었다.
26일 해당 외주업체 등은 포스코 사고현장에서 유족 등을 상대로 사고 상황 등을 알리는 설명회를 열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에 따르면 21일부터 시작한 냉각탑 내장재 교체에는 외주업체 근로자 7명이 투입됐다. 외주업체 T사 소속 근로자 6명과 또 다른 외주업체 소속 크레인 기사 1명이다.
사고 당일 T사 소속 근로자 6명 가운데 숨진 근로자 4명은 냉각탑 안 내장재 교체를 하던 중이었고 나머지 2명은 외부에서 안전관리 등을 담당했다. 내장제 교체를 맡은 4명은 25일 오후 3시30분쯤 냉각탑 안으로 들어갔고 상부에 1명, 중간 부근에 2명, 하부에 1명이 배치됐다.
8분 뒤, 외부에 있던 근로자 2명이 크레인 작업을 위해 무전 교신을 시도했으나 응답이 없었다. 그 뒤 오후 3시47분쯤 4명은 질소로 추정하는 유해가스에 질식해 쓰러진 채 발견됐다.
포항지부 측은 “원청업체 포스코와 외주업체가 기본적 안전조치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또 “포스코가 안전작업 허가서를 발부했는지도 의문”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외주업체가 숨진 근로자에게 산소뿐 아니라 유해가스인 질소, 아르곤 농도를 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비를 지급하지 않았을 수 있다”면서 “안전규정을 철저히 지켜야 할 ‘정기 대수리’기간에 이런 사고가 난 것은 포스코 안전관리시스템이 붕괴했다는 방증이다”고 비판했다.
숨진 근로자 유족 등도 “작업 현장에 가스가 유입됐지만 경보음이 작동하지 않았다는 말도 나온다”고 주장했다.
포스코 측은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안전작업 허가서를 제대로 발부했고, 투입 전 가스 검지, 산소 농도 확인도 했다”면서 “근로자를 배치하는 시점에는 이상이 없었지만 무전에 응답하지 않을 당시 이미 질식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또 “방산구(순도가 낮은 질소를 배출하는 구멍)에서 냉각탑 상부로 연결한 배관은 역류하는 질소 대부분을 대기로 방출하나 일부는 안으로 유입된다”면서 “확실치는 않으나 질소가 상부에서 유입돼 상부, 중부, 하부 작업자 순서로 질식한 것으로 본다”고 입장을 밝혔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 포항지청 관계자는 “기본적인 안전조치가 있었는지, 안전작업 허가서를 발부했는지, 경보음이 울렸는지 등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방침이다”라며 “이르면 다음 주부터 포항제철소 전 사업장에서 산업안전 보건 분야 특별감독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찰도 안전규정 준수 여부와 가스 유입 경로 등을 밝히는 데 매진하고 있다. 특히 냉각탑에 가스 유입이 실수로 발생했는지 기계결함 때문인지 자세한 경위를 조사할 방침이다.
고용노동부 이성기 차관은 이날 사고현장을 방문해 “철저한 원인 규명과 사고 책임자 엄벌”을 약속하면서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관계기관과 협조해 신속하고 원만한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