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올림픽이 종료될 때까지 여야가 정쟁을 중단하자’는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제안에 야당이 일제히 반발했다.
우 원내대표는 25일 민주당 정책조정회의에서 “평화는 나라의 기틀이고 근간”이라면서 “정치권이 한마음 한뜻으로 합심하기를 바란다”며 ‘정쟁 중단 선언’을 제안했다. 이후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를 찾아 “2월 임시국회 논의와 정쟁 중단 등을 모여 얘기해보자”고 말하기도 했다.
여당의 이같은 제안은 자유한국당이 평창 올림픽을 ‘평양올림픽’으로 규정하며 이념 공세에 나서고 있는 데 대한 자제를 촉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3일 민주당 원내지도부와 만난 자리에서 “과거에는 올림픽 같은 국가적 사안에 있어 초당적 협력이 이뤄졌다”며 “이번에는 그러지 않아서 협력이 필요한 시기”라고 우려한 데 따른 움직임이기도 하다.
그러나 야당은 여당의 제안에 일제히 반기를 들었다. 자유한국당은 같은 날 장제원 수석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우 원내대표의 제안에 응수했다. 장 수석대변인은 “문재인 정권과 민주당이 평양올림픽이라고 비판하는 국민의 목소리가 두렵긴 두려운가 보다”라며 “도둑이 제 발 저린 듯 정쟁을 중단하자고 나섰다”고 꼬집었다.
이어 “평양올림픽 논란을 평화올림픽이라고 우기고 심지어 경제올림픽이라고 우기는 것 자체가 정쟁”이라며 “문제의 본질은 우 원내대표가 주장하는 그 평화가 북한의 위장평화공세를 도와주고 있고, 문재인 정권이 그 위장평화공세에 부응해 북핵 완성의 시간만 벌어주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도 원내대책회의에서 “자신들에 대한 여론과 국민정서가 너무 안 좋으니까 원내대표 회동을 요청하는 것”이라며 “청와대가 애들 장난치는 곳인가”라고 직격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 원내대표의 제안에 반박했다. 그는 “오히려 정부여당이 정책적인 부분을 정쟁화했다”며 “국회에서 여당이 어떻게 하면 제대로 된 역할을 할지 고민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우 원내대표를 직접 만나 논의 제안을 받은 김 원내대표 역시 “정당은 지지기반, 계층, 국가와 미래에 대한 배경, 철학 등이 다 다르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는 치열한 토론을 하는 게 맞다”며 “치열한 토론과 정쟁은 구분돼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는 “어이가 없는 이야기”라고 잘라 말하며 “그간 야당이 정쟁만 했다는 시각이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제가 민주당에 대해 한심하게 생각하는 것은 (제가) 집권당 시절 대통령에 어떻게 했는지 알 것이다”라며 “이명박 박근혜 정부 여당을 오래 했지만 할 말을 다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당이 지난 8개월 하는 것을 보니 여당으로서, 여당 이전에 국회인데 행정부에 대한 견제 기능이 완전히 실종됐다”고 지적했다.
문지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