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만 50세 이상 구직자를 채용하는 사업주에게 최대 1년간 월 80만 원의 인건비를 지원한다.
고용노동부는 23일 ‘신(新)중년 인생 3모작 기반구축 계획’의 후속조치로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지원금 사업을 공고하고 본격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첫 시행인 올해 2000명 규모(사업비 86억 원)로 실시하고 앞으로 지원 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50세가 넘어 퇴직하는 중장년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들이 자신의 경력과 노하우를 살려 재취업할 수 있도록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됐다. 지난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 55세 이상 64세 미만 퇴직자의 수는 꾸준히 늘어 2016년 423만명, 2017년 440만 명에 다다른다.
사업주가 만 50세 이상 구직자를 정부가 지정한 ‘신중년 적합직무’에 채용하면 정부로부터 최대 1년간 중소기업에 월 80만원, 중견기업은 월 40만원의 인건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금을 받으려면 신중년 구직자를 정규직 또는 무기계약직으로 채용해 3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해야 한다.
신중년 적합직무는 경영·진단 전문가, 노년플래너 등 총 55개가 선정됐다. 적합직무에는 경영진단전문가, 청소년지도사, 자동차정비원 등 중년 구직자에 익숙한 기존 직무 뿐만아니라 3D프린팅전문가와 같은 새로운 직업도 포함됐다. 정보통신발달 등으로 향후 새로운 수요가 예상되는 분야에 도전을 장려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고용노동부 김경선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 지원금이 신중년들의 경력과 특성을 살린 취업을 촉진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특히 올해 첫 시행이니 만큼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기를 바라며, 사업을 진행하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사업에 참여하려는 사업주는 만 50세 이상 구직자 채용 이전에 고용센터에 사업 참여 신청을 해야 한다. 신청서류 서식 등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업 참여 신청은 고용보험시스템(www.ei.go.kr)을 통해 하거나 사업체 소재지의 관할 고용센터에서 할 수 있다.
송태화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