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60년 전인 1968년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 직후 북한에 원자폭탄을 떨어뜨릴 계획을 수립했다고 CNN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율리시즈 샤프 당시 미 태평양사령관이 ‘북한의 2차 남침에 대비한 한국 수호 작전 보고서’를 백악관에 제출했다고 기밀해제된 미 중앙정보국(CIA) 보고서 등을 인용해 전했다.
2차 남침은 또 다른 한반도 전쟁을 의미한다. 당시 미 태평양사령부는 전면전을 상정한 시나리오 중 하나로 북한에 대한 원자폭탄 투하계획도 세웠다. ‘자유의 낙하(Freedom Drop)'란 이름의 작전은 70킬로톤 규모의 원자폭탄을 북한에 떨어뜨리는 계획이었다. 70킬로톤은 일본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3배 이상 규모의 파괴력이다.
미국이 원폭 투하 계획까지 수립한 것은 푸에블로호 선원들의 석방 교섭이 지지부진해지면서 선원들이 고문을 당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다.
린든 존슨 당시 대통령은 당초 푸에블로호가 나포된 직후 국방부가 제시한 12가지 군사옵션을 모두 물리치고 대신 무력시위와 협상 병행을 선택했다. 항공모함 3대를 포함한 25척의 함정과 수백대의 전투기가 한반도 주변으로 집결했다.
그러나 2월부터 시작된 북미 협상이 좀처럼 타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워싱턴의 강경파들은 중국과 소련의 개입과 북한의 반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군사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원폭 투하 계획을 접은 것은 선원들의 목숨을 살려야 한다는 여론 때문이었다. 북한은 그해 12월 사과와 재발방지를 약속받고 푸에블로호 선원 82명과 유해 1구를 돌려보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